경기침체 우려로 글로벌 TV시장이 급속히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압도적 시장 지위를 굳건히 지켰다.
23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삼성전자의 세계 TV 시장 점유율(금액 기준)은 31.5%, LG전자는 17.4%로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수량 기준으로는 삼성전자가 21%, LG전자가 12.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지난해까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집콕' 트렌드로 인해 호조를 보였던 TV 시장은 올 들어 빠르게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상반기 전세계 TV 출하량은 9260만45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다. 금액 기준으로도 475억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5% 줄었다.
다만 두 회사는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했다. 삼성전자의 주력 제품인 QLED TV는 올 상반기 '네오 QLED' 판매 호조로 동기 대비 16.3% 성장한 464만대를 판매했다. 지난 2017년 이후 올 상반기 누적 판매량은 3000만대를 돌파했다.
삼성전자는 80형 이상 초대형 TV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이 48.6%에 달했고, TV 시장의 최대 격전지인 북미와 유럽 80형 이상 시장에서는 각각 62.4%와 58.0%의 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했다.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TV 시장에서도 금액 기준 53.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LG전자는 올레드 TV 시장의 리더십을 이어갔다. 이 회사의 상반기 올레드 TV 출하량은 169만1000대로 전체 올레드 TV 시장 출하량의 62%를 차지했다. LG 올레드 TV는 70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출하량이 17% 늘었고, 특히 40형대 중형 올레드 TV 출하량도 전년 대비 81.3% 크게 증가했다. 대형 TV를 선호하는 '거거익선' 트렌드 속에서 고화질 중형 TV로 틈새 시장을 개척한 것이 주효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이제 TV를 즐겨라" 삼성전자, 2022년 TV 신제품 키워드는 '사용자 경험 확장'
- "AAA급 게임 넷플릭스처럼 바로 골라 플레이"...삼성 TV '게이밍 허브'로 '겜심' 저격
- 삼성 디지털프라자에서 '네오 QLED 8K'로 NFT 작품 감상하세요
- LG전자 '올레드 에보', 까다로운 일본 TV 시장에서도 '엄지 척'
- "뒤태가 다르다" LG전자, 라이프스타일 TV 'LG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포제' 공개
- LG전자 올레드 TV, 유럽에서 '엄지 척'…프리미엄 시장 주도권 잡는다
- 삼성전자, 네오 QLED 98형 신제품 출시…출고가 4500만원
- "사용자의 사생활을 지켜라"…삼성전자 'IoT 보안' 기술 강화 총력
- '가전'과 '가구'의 경계 허무는 LG전자…내달 IFA에서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공개
- 삼성전자, 온·오프라인 매장 수어 상담 서비스 도입
- 독일 '게임스컴'에 뜬 삼성 '오디세이 아크'…유럽 시장 본격 공략
- LG전자 "Z세대 인사이트 배우자"…조주완 사장 등 최고경영진 직접 경청
- LG전자 'HCA' 의장사 참여…스마트홈 생태계 확장 나선다
- 삼성전자 박학규 사장 네팔·캄보디아 정부 접견…'2030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
- LG전자, 집중호우 수해 이재민에 생활가전 300대 기부
- LG전자, 커브드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 'IFA 2022'에서 첫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