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상명대 창의예술 영재교육원과 함께 초등생 영재를 대상으로 AI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상명대 창의예술 영재교육원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생 60명을 대상으로 5월부터 6개월 간 '지속가능한 지구 이야기'를 주제로 영재교육 과정 운영에 들어갔다. KT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프로젝트형 실습 교육을 맡아 진행한다.
상명대 창의예술 영재교육원은 서울시교육청의 승인을 받은 영재교육기관이다. 인공지능 등 미래 핵심기술과 예술을 융합해 창의융합형 영재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KT가 주관하는 AI와 예술이 융합된 프로젝트형 실습교육은 '움직임 코딩: 메타버스에서 Lets dance!', '응답하라! 미래지구 예술로 코딩', '그린에너지: 건강한 지구와 업싸이클링 아트', '따뜻한 AI와 옴니버스 예술극장' 등으로 구성된다. 인류의 다양한 보편적 문제 및 환경 생태계와 관련된 주제를 놓고 AI를 활용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보고 실제 결과물까지 도출해 내는 체험활동이다.
여름방학 기간에는 학생들이 환경 오염 등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슈를 고민하고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내놓는 영재캠프도 개최된다.
KT는 초등학생들이 쉽고 재미있게 컴퓨팅 사고력을 체화하고 인공지능 원리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블록코딩 AI 코디니와 같은 다양한 교구를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인공지능 기술에 관심이 있는 영재 학생들이 인공지능 능력시험 AICE(AI Certificate for Everyone, 에이스)의 초등학생 대상 트랙인 Future(퓨처)에 응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합격자에게 AICE 자격증과 디지털 배지도 수여한다.
진영심 KT그룹인재개발실장(상무)은 "인공지능과 예술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경험을 통해 미래 인재로 자라날 초등학생들이 인공지능의 다양한 가능성을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KT가 보유한 AI 인재 육성 노하우를 바탕으로 다양한 산학 협력을 도모하며 미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는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카드뉴스] KT, '생성형 AI'와 '디지털 트윈'을 접목해 메타버스 2.0 시대 연다
- KT '지니TV'에서 CJ ENM 콘텐츠 즐긴다…월정액 상품 출시
- "지역축제 여기서 관리해요" KT '문화 축제 빅데이터 서비스' 출시
- KT, 청년에게 데이터 2배 제공하는 'Y덤' 내놨다
- 로봇이 배달다니는 강남구 만든다...KT-강남구청 '맞손'
- [테크M 리포트] KT 주식 매력없다? CEO 장기 부재에 등돌리는 여의도
- KT, 팬직-모비드림과 산업용 대형 스마트 실링팬 만든다
- KT, 2025년엔 AI로 연 1조원 번다...AICC-AI물류에 '로봇-케어-교육' 더한다
- 초·중·고 AI 교육에 진심인 KT…'AICE' 도입해 인재 양성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