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석 라인 넥스트 사업이사가 블록체인 확장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블록체인 기술이 애플리케이션과 사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록체인은 앱스토어를 대체하는 플랫폼이 아니라, 앱에서 만들어지는 자산을 다루는 기술이라는 설명이다.
5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코리아블록체인위크(KBW) 2023’서 김우석 사업이사는 10억명의 유저를 위한 웹3.0(Web3 for 1 Billion Users)를 주제로 키노트 발표했다. 김 사업이사는 강연을 시작하며 웹3.0이라는 단어부터 사라져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초기 블록체인 모델으 실패했다고 본다. 투기적으로만 사용됐다"며 "서비스 관점에서도 블록체인 앱은 많이 어렵다. 라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면 개념 자체를 어려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김 사업이사는 "웹3.0을 수억명이 사용하게 하려면 앱을 위한 블록체인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블록체인 앱만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 모델이 발전한다면 지금 이상 확장성 갖기 어렵다. 웹2,0에선 일년에 100만개가 넘는 앱이 나온다. 그곳에서 더 많은 혁신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 앱과 일반 앱을 구분하기 보단, 블록체인이 앱을 지원하는 포지션을 잡아야 지금과 다른 확장성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김 사업이사는 "3년 전만 해도 블록체인 플랫폼이 앱스토어 대체한다는 비전이 있었다. 하지만 블록체인은 앱의 인터페이스 바꾸는 기술이 아니다"라며 "백엔드에서 자산을 다루는 기술이다. 앱에서 만들어지는 자산을 대체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블록체인 에셋은 크로스보더로 판매하고 펀딩할 수 있다는 점, 이용자가 소유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거래된다는 점, 디지털에서 인증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의 기능에 집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 사업이사는 "라인은 블록체인이 일반적인 비즈니스를 위한 도구가 돼서 웹3.0 세상이 올거라고 믿고 있다. 라인은 웹2.0에선 아시아 1등 메신저에 그쳤지만, 웹3.0에선 아시아를 넘어 더 큰 성공을 이룰 수 있다고 믿는다"고 전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블록체인 프로젝트, 韓 모인다...KBW 2023 7일간 여정 시작
- [KBW 23] 전선익 팩트블록 대표 "정보 비대칭성 해소 위한 KBW, 내년엔 온라인 확장"
- [KBW 23] 김서준 해시드 "디지털 네이티브 한국, 웹3.0 대중화 선도할 것"
- [KBW 23]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 창시자 "쉬운 노드 운영 가능해야 생태계 참여 늘어날 것"
- [KBW 23] 장현국 위메이드 "나이트크로우, 위믹스 전용 아니다...이더리움도 지원"
- [KBW 23] 가상자산 수탁사 '비트고', 하나은행과 업무협약...韓 공략 나선다
- [KBW 23]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에서는 아이템 발행 여부도 커뮤니티가 정한다"
- [KBW 23] 이규창 컴투스 USA "재밌는 게임이 웹3.0라면 블록체인 배울 것"
- [KBW 23] '아기상어' 활용한 메타버스 '베이비샤크 유니버스' 나온다...창작자 보상 시스템 탑재
- [KBW 23] 글로벌 행사 다닌 보람 있네...'우나기' '크로마' 내세운 위믹스 부스 '북적'
- [KBW 2023] '날씨만큼 뜨거웠다'...사진으로 보는 아시아 최대 블록체인 콘퍼런스 'KBW 임팩트'
- 1800억원 투자 받은 라인 넥스트...'핀시아' 활성화 속도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