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스마트팩토리 사업의 본격적인 출정을 알렸다. 66년 업력 노하우에 인공지능(AI)디지털전환(DX) 기술을 접목시켜 B2B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 오는 2030년 매출액 조 단위의 사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목표다.
LG전자는 18일 평택 LG 디지털파크에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 소개와 향후 전망에 대해 설명했다.
이날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 원장은 "최근 정부가 권장하고 있는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 방안으로 스마트팩토리 지원을 말할 정도로 스마트팩토리는 자체적인 생산성에 혁신을 불러온다"며 "LG전자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 말 조직개편으로 스마트팩토리 사업담당 조직을 신설하고 LG전자 생산 기술에 AI와 DX 접목해 신공장 구축 고객과 기존 공장에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넓히고자 하는 고객에게 다가가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착수, 올해부터 본격적인 사업 출항에 나섰다. 송시용 LG전자 스마트팩토리 사업담당은 "올해부터 사업 전략을 얼라인해서 포트폴리오 구색을 갖추고 본격 출항하고자 한다"며 "연말까지 대략적인 수주 규모는 3000억 정도, 예상 매출은 2000억원 정도 달성해 향후 2030년에는 조단위 사업으로 육성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3대 미래 성장 동력 중 B2B분야를 낙점, 그 중에서도 스마트팩토리 사업을 추진하기에 이르렀다. 송 담당은 "그동안은 LG 그룹사들을 위주로 공장 내부 효율화와 합리화, 지능화를 위한 스마트팩토리 조성이 이어져왔다"며 "이제는 오픈 시장에 나가 LG전자만의 축적된 경험과 디지털 자산 등을 활용해 대외 사업화하겠다는 전략이다"고 밝혔다.
송 담당은 지난 60여년 간 LG전자가 축적해 온 노하우와 생산기술이 스마트팩토리 성공에 핵심 역량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그는"스마트팩토리 사업은 LG전자가 정말 잘할 수 있는 사업으로 꽤 오랜 시간 동안 제조공장 돌려본 노하우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다"며 "경험에 생산기술이 동반돼야 하는데 LG전자는 생산기술 인력 1800여명을 확보해 스마트팩토리 구출 기술 양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경쟁력으로 AI·LLM과 로봇을 활용했다. '자율주행 이동로봇(AMR)' 등 다양한 산업용 로봇 솔루션은 카메라, 레이더, 라이다 등 센서를 탑재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부품·자재를 공급한다.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정해진 경로 외에도 작업자나 장애물을 피해 효과적으로 움직인다. 비전 AI 기반 실시간 감지 시스템은 무인화 생산 확대 추세에 맞춰 개발됐다. AI가 정상 가동중인 공장 모습을 학습한 후, 이상 상황이나 온도, 불량 등을 감지하는 솔루션이다.
현재 스마트팩토리의 주요 고객사는 이차전지 제조업체,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물류업체 등이다. 향후에는 반도체와 제약·바이오, 식음료(F&B) 등 공장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산업군으로 적극적으로 진입하며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송 담당은 "현재 20여개 고객사를 확보하고 협력 중이다"며 "성장성 높은 고객들을 컨택해 신규 성장 동력인 제약사 포함 바이오와 중장비, 가공, 조립공장 등의 공장을 등대공장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고 밝혔다.
끝으로 LG전자는 스마트팩토리 사업 방향의 지향점을 종합병원과 유사하게 가져가겠다고 밝혔다. 송 담당은 "종합병원이 진단과 처방, 치료, 유지·관리까지 하는 것처럼 스마트팩토리도 마찬가지다"며 "고객들이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고 원하는 생산성을 확보할 때까지 고된 여정이 있는데 LG전자는 이와 함께 하는 페이스메이커로서 산업계 명의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