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삼성SDS 제공
/ 사진=삼성SDS 제공

"삼성SDS의 서비스들은 코파일럿에서 발전해 두 번째 단계인 에이전트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삼성SDS가 내년 GPU를 중심으로 한 AI 클라우드 기업 업무의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을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지난해부터 스스로 업무 자동화로 전환한 만큼 에이전트를 통해 고객기업의 업무 향상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포부다. 

삼성SDS는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리얼 서밋 2024'에서 전체 업무 프로세스에 생성형 AI를 적용하고 기업 고객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2500명 이상의 현장 관람객과 함께 온라인 청중까지 총 1만여명이 참여해 삼성SDS의 생성형 AI 서비스 비전을 확인했다. 

삼성SDS는 지난해 임직원들의 생성형 AI 적용 아이디어 1만 4417건을 발굴했다. 지난 7월부터는 사내 7개 메가 프로세스와 4000개 이상의 하위 프로세스로 구성된 전체 업무에 생성형 AI를 적용하고 있다. 내년에는 전체 업무 중 24% 이상에 생성형 AI가 적용돼 생산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S는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에 AIOS와 LUI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하고,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를 통해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하이퍼오토메이션 혁신의 여정을 이끌 계획이다.

황성우 삼성SDS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생성형 AI를 통해 컴퓨터 인터페이스가 자연어 명령을 듣고 사람의 의도를 이해해 작동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를 기업 고객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을 GPU 중심 AI 클라우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지는 기조연설에는 마이클 델 델 테크놀로지스 회장, 제리 첸 엔비디아 제조·산업 부문 글로벌 비즈니스 개발 총괄, 마크 소우자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아 부사장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조 윌슨 워크데이 글로벌 최고기술책임자(CTO) 등 삼성SDS와 협력하는 글로벌 파트너의 주요 경영진이 참여했다. 이와 함께 홍선기 삼성생명 디지털 혁신실장과 정봉화 파라다이스그룹 총괄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가 삼성SDS의 생성형 AI를 이용해 구축한 업무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삼성SDS는 패브릭스, 브리티 코파일럿 등 삼성SDS의 생성형 AI 서비스를 고객에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기 위해 인프라(IaaS), 플랫폼(PaaS), 엔터프라이즈 솔루션(SaaS)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력을 맺고 있다.

이어지는 4개 트랙, 27개 세션에서는 ▲생성형 AI ▲클라우드 ▲AI 기반 데이터 분석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등 삼성SDS의 핵심 역량과 적용 사례를 공유했다. 특히 ▲베트남 CMC그룹 브리티 코파일럿 도입 ▲웅진 렌탈 서비스 패브릭스 적용 ▲대상웰라이프 브리티 오토메이션 적용 등 생성형 AI 적용 사례와 ▲농촌진흥청 ▲대한항공 ▲LIG 넥스원의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 도입 사례가 주목을 받았다.

삼성SDS 생성형 AI 서비스를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과 솔루션 파트너사, 삼성SDS 자회사들의 전시부스도 마련됐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