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24'가 오는 6일 문을 연다. 현장에는 국내 대표 가전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도 참전해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가전과 스마트 솔루션을 선보이며 각축전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IFA 2024는 오는 6일부터(현지시간) 10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다. 


업계 최대 규모 부스, '삼성AI'로 채우다

삼성전자는 'IFA 2024'에서 '모두를 위한 AI(AI for All)'를 주제로 AI 기술 혁신을 통한 연결 경험을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 사진=IFA2024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
/ 사진=IFA2024에 마련된 삼성전자 부스

삼성전자는 '메세 베를린' 전시장에 위치한 '시티 큐브 베를린'에 업계 최대 규모인 6017㎡(약 1820평)의 공간을 마련했다. 부스에서는 '스마트싱스'를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서비스와 영상디스플레이·생활가전·모바일 등 최신 AI 제품을 대거 전시한다. 테마는 ▲보안 ▲개인정보보호 ▲지속가능성 ▲쉬운 연결과 제어 ▲안전과 건강 ▲B2B 솔루션 등으로 나뉜다. 

'보안'을 테마로 한 전시존에서는 기기 간 안전한 연결을 지원하는 '삼성 녹스 매트릭스'와 사용자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는 '삼성 녹스 볼트'를 중심으로 소개한다. '지속가능성 존'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중시하는 유럽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췄다. 전력 피크 시간대에 에너지 절감을 도와주는 '플렉스 커넥트' 등 에너지 절약을 위한 주요 기능을 소개한다. 태양광을 통해 전력 소비량을 최적화해 주는 '스마트싱스 에너지' 서비스도 테슬라와 협업해 전시한다. 

'쉬운 연결과 제어 존'에서는 ▲구매한 제품을 자동으로 스마트싱스에 연결해 주는 '캄 온보딩' ▲집안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맵뷰' ▲스마트폰으로 리모컨 기능을 할 수 있는 '퀵리모트' 등 솔루션을 선보인다. '안전과 건강 존'은 스마트싱스를 통해 가전을 수면에 최적화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시연한다. 'B2B 솔루션 존'에서는 스마트싱스를 B2B까지 확대한 '스마트싱스 프로'로 상업용 공간에서 가전 제품과 사물인터넷(IoT) 제품까지 연동해 관리하는 모습을 선보인다. 

삼성전자 IFA2024에서 사용자의 목소리나 위치를 인식해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이스 ID'와 '앰비언트 센싱 기능을 최초 공개한다. 보이스 ID는 목소리로 개별 사용자를 인식해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기능이다. 앰비언트 센싱은 센서를 활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다.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있는 가전의 스크린을 활성화하거나, 사용자가 있는 위치에서 음성 알람을 해준다.

'비스포크 AI 하이라이트 존'에서는 올해 유럽 12개국에 출시 예정인 '비스포크 AI 콤보'와 '비스포크 AI 스팀' 등 AI 가전제품들을 전시한다. 또 에너지 효율에 민감한 유럽 소비자들을 겨냥한 '에너지 리더십존'도 구성했다. 

이외에도 IFA2024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공개된 신규 코파일럿+ PC '갤럭시 북5 프로 360'도 전시해 갤럭시 모바일과 '갤럭시 북5 프로 360' 간 연결 경험과 다양한 AI 기능을 체험해 볼 수 있다.


유럽에서 펼쳐지는 LG만의 '스마트홈'

LG전자는 '공감지능으로 새롭게 그려내는 AI홈'을 주제로 IFA2024에 참여한다. 생성형 AI를 탑재한 AI홈 허브와 AI 가전으로 고객과 공감하며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하는 'LG AI홈' 솔루션을 선보인다.

'IFA 2024'에 마련된 LG전자 부스 / 사진=LG전자 제공
'IFA 2024'에 마련된 LG전자 부스 / 사진=LG전자 제공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하는 'LG 씽큐 온'은 집 안 가전과 IoT기기들을 연결하는 LG AI홈의 핵심 디바이스로, 가전 업계 최초로 허브에 생성형 AI를 탑재했다. 가로 약 30m 길이의 초대형 LED에 AI홈 이미지를 연출한 미디어아트를 지나 전시관으로 들어서면, LG AI홈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공간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액티브 시니어' 라이프스타일 공간에서는 LG AI홈이 가사부담을 덜어줘 은퇴 후 제 2의 삶을 살아가는 고객의 모습을 보여준다. '아이와 반려동물'이 있는 공간에서는 두 다리에 달린 바퀴와 자율 주행 기술로 움직이는 '이동형 AI홈 허브'가 아이의 생활 루틴에 맞는 케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YG(Young Generation)세대' 맞춤 공간에서는 전문 셰프가 음식물 쓰레기를 줄여주는 식단을 물어보고 레시피를 추천받는 등 LG 씽큐 온과 대화하며 요리를 완성하는 'AI 쿠킹쇼'를 볼 수 있다.

LG전자는 이번 전시에서 AI홈 솔루션의 근간이 되는 'AI 코어테크'도 선보인다. AI 코어테크는 모터/컴프레서 등 LG전자의 뛰어난 하드웨어 기술력에 AI 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AI로 제품 사용 환경을 분석한 뒤 최적화 모드를 제공해 제품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모두 끌어올린다.

LG AI홈은 에너지 효율을 높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도 기여한다. 고효율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은 AI가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 냉난방 모드를 최적화해 에너지를 아낀다. 낮/밤, 날씨 등 환경에 따라 최적의 효율로 제품을 구동하고,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해준다. LG전자 써마브이는 외부 공기에서 얻는 열에너지를 활용해 실내 냉난방 및 온수를 공급하는 '공기열원 히트펌프(AWHP)' 제품이다. 화석연료를 태운 열로 난방하는 기존 보일러에 비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도 우수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은 "생성형 AI로 고객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LG AI홈' 솔루션을 앞세워 고객의 일상을 업그레이드하는 AI홈 시대를 이끌겠다"고 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