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핀글로벌은 자사 한국 법인이 2024년 조정 EBITDA(상각과 주식보상 전 영업이익) 기준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했다고 9일 밝혔다.

회사 측은 "거시 경제의 불황 속에서도 AI 관리 서비스(MSP)를 중심으로 한 전략적인 사업 구조 혁신과 수익 다각화를 위한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베스핀글로벌은 지난 7월 AI MSP 사업 중심의 전략적 조직 개편을 단행하고 비즈니스 생산성 향상과 비용 효율화에 주력해왔다. 특히 회사 측은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AI 에이전트 플랫폼 '헬프나우 AI'의 확산을 주요 성과로 꼽고 있다.

이 회사는 현재 한국수력원자력의 세계 최초 원전 특화형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에 돌입했으며, 지난해 울산교육청의 생성형 AI 교수 학습 플랫폼 '우리 아이(AI)'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서울 성동구청의 '성동형 스마트 AI 민원 안내 챗봇'도 시범 운영 단계에 있다.

허양호 한국 대표는 "이번 흑자 전환 전망은 AI MSP로의 전환과 고객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가 이끌어낸 고무적인 결실로 베스핀글로벌의 성장 가능성과 시장 리더십을 증명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앞으로도 국내외 고객 및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고도화된 내부 역량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AI를 중심으로 한 차세대 디지털전환(DX) 선도 기업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