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해킹 사태로 보안 리스크에 대한 기업들의 경각심이 높아진 가운데 지난해 삼성전자와 네이버, 넥슨코리아, 두나무 등 주요 IT서비스 기업들이 정보보호 투자액을 일제히 상향해 눈길을 끈다.
IT서비스 기업 보안투자 일제히 증액
2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정보보호 공시 종합 포털에 따르면 ▲삼성SDS ▲LG CNS ▲현대오토에버 ▲포스코DX ▲롯데이노베이트 ▲CJ올리브네트웍스 등 주요 IT서비스 기업들의 지난해 정보보호부문 투자액이 전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기업별 투자액은 ▲삼성SDS 652억원 ▲현대오토에버 287억원 ▲LG CNS 274억원 ▲CJ올리브네트웍스 87억원 ▲롯데이노베이트 83억원 ▲포스코DX 44억원 순이다. 전년 대비 투자액은 현대오토에버가 61억원으로 가장 많이 늘었고, LG CNS도 42억원을 증액했다.
IT 예산 대비 보안 관련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정보보호 투자 비율은 ▲포스코DX 24.7% ▲CJ올리브네트웍스 14.3% ▲삼성SDS 11.8% ▲롯데이노베이트 9.9% ▲현대오토에버 9.3% ▲LG CNS 6.4% 순이다. 포스코DX와 LG CNS가 지난해 각각 21.7%와 5.3%에서 소폭 상승했고, 나머지 기업은 전년과 비슷한 비율을 유지했다.
LG전자 보안투자 비율 4년째 감소 중
주요 IT 기업들의 투자액도 대부분 증가했다. 전자 부문 대표 기업인 삼성전자 지난해 정보보호 투자액은 3562억원으로 전년 대비 588억원 늘었다. LG전자 투자액도 296억원으로 같은 기간 38억원 증액했다.
정보보호 투자 비율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4.9%에서 5.4%로 상승한 반면 LG전자는 5.6%에서 4.5%로 감소했다. LG전자의 비율은 2022년 공시한 2021년분(8.9%) 이후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통신 3사의 보안 비용도 증가했다. 이들은 지난해 각각 652억원, 1250억원, 828억원을 보안에 투자했다. 이 중 LG유플러스가 전년 대비 196억원을 증액하며 눈에 띄는 상승폭을 기록했다.
투자 비율은 LG유플러스가 소폭 상승했고, SK텔레콤과 KT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LG 유플러스가 7.4%로 가장 높았고, SK텔레콤이 4.2%로 가장 낮았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 유심 해킹 사태를 겪은 뒤 민관합동조사단의 3차 조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고객 보상안 수위도 이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보안 투자 증액 흐름 속 카카오 소폭 감소
대표 포털 네이버의 보안 투자액은 553억원으로 전년 대비 136억원 늘었다. 반면 카카오는 247억원으로 전년 대비 투자액이 9억원 줄었다. 또 양사는 IT기업으로 정보기술 투자 비율이 높다고도 공시했다. 이들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비율은 3~4%대 수준이다.
게임업계에서는 넥슨코리아가 228억원으로 지난해보다 70억원을 증액했고, 같은 기간 크래프톤은 31억원을 더한 97억원을 보안에 투자했다. 넷마블의 보안 투자액은 52억원에서 57억원으로 늘었다. 이들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 비율은 4~5% 수준이다.
블록체인업계에선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148억원, 빗썸이 92억원을 보안에 투자했다. 두나무는 전년 대비 56억원 증액했고, 빗썸은 지난해 자료를 공시하지 않았다. 올해 정보보호 투자 비율은 각각 9.6%, 9.9%이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배민 15년①] 우리가 어떤 민족?...배달의민족, 15년 여정으로 '배달 생태계' 열다
- 과열되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정책 아직 미완성...제도 마련 시급"
- 6개월 만에 바이낸스알파 입성한 크로쓰...국내 상장·신뢰 구축 과제로
- "주말 데이트 코스 알려줘" 카카오, 'AI 메이트 로컬' 출시...버티컬 AI 서비스 확대 본격화
- KT새노조·시민단체, "'정권 교체=KT 대표 교체' 악순환 끊어야"
- 구글 "AI는 창작자의 든든한 조수"...'고품질 결과물' 제공 자신감
- 'IT 대란' 일으킨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주가 우상향 하는 이유는
- 노키아 "한국도 5G 단독모드 서둘러야...기술은 이미 준비 완료, 결단 필요"
- [e스포츠人] 젠지 교전의 심장...'캐니언' 김건부가 전하는 첫 승리
- 네이버 노조, 최대주주 국민연금에 임시 주총 요구
- "성과급 더 달라" 노조 요구에...네오플 "이미 300억원 지급, 근무환경 개선할 것"
- [크립토 브리핑] 美·베트남 무역합의 타결에 비트코인 반등...토종코인도 상승세
- 밀크파트너스, BNB체인에 스테이블코인 'USD1' 전용 로열티 플랫폼 출시
- 코인원, KIS자산평가 손잡고 '가상자산지수' 만든다
- 스트리머 IP 강화 나선 SOOP...커머스·굿즈 등 전방위 지원 사격
- "춘식이 부산에 뜬다" 카카오프렌즈-수영구청, 캐릭터존·시티투어 프로그램 진행
- 카카오헬스케어, 프리드라이프 손잡고 '생애주기별 헬스케어 패키지' 기획
- "韓 AI 시장 노려라" 클라우드 사업 확장 나선 中 텐센트·알리바바
- 카카오페이, 소상공인 지원 과정 담은 '오래오래 함께가게' 캠페인 영상 공개
- 웨이브, OCN·CJ ENM 인기 콘텐츠 라인업 추가...오리지널 'S라인' 공개도
- 스테이블코인 전문은행 나올까...美 테크 부호, '에레보르' 설립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