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주도 '국가대표 AI' 개발 과제에서 업스테이지가 주도하는 컨소시엄에 참가하는 노타가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돌입하며 기세를 몰아갈 방침이다.
노타는 21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노타는 AI 경량화 및 최적화 기술 기업이다. 이번 상장을 통해 총 291만6000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희망 공모가는 7600원에서 9100원 사이다. 공모 예정 금액은 약 222억원~265억원이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 예측은 내달 12일~18일, 일반 청약은 23일~24일에 진행된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노타는 최근 기업공개(IPO) 시장이 위축되고, 지난달부터 시행된 제도 개선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이 주춤한 상황에서 견고한 사업 성과와 확실한 성장 비전을 기반으로 성공적인 상장 절차를 진행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노타는 2015년 설립 이후 독자 개발한 AI 모델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를 중심으로 자원 제약이 큰 엣지 디바이스에서도 고성능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또 복잡한 모델 최적화·배포 과정을 자동화해 개발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하며 엔비디아, 삼성전자, 암, 퀄컴, 소니, 르네사스 등 글로벌 AI 반도체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다수의 상용화 성과를 거뒀다.
국내에서는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생성형 AI 기반 지능형 영상 관제 솔루션 '노타 비전 에이전트(NVA)'를 산업안전,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리테일, 선별관제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 4월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교통국과 국내 최초 생성형 AI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7월에는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천2공장에 적용을 완료한 바 있다.
매출도 2021년 4억8000만원에서 2022년 20억1000만원, 2023년 35억8000만원, 2024년 84억4000만원으로 늘며 연평균 159.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채명수 노타 대표는 "이번 IPO를 계기로 확보한 자금을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사업 확장에 전략적으로 투입할 것"이라며 "AI 경량화·최적화 분야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며 AI 보편화를 실현하는 대표 기업으로서 산업 전반의 AI 도입과 확산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노타는 2020년 독일 베를린과 2022년 미국 서니베일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뒤 중동·일본·동남아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올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B 인사이트 '글로벌 혁신 AI 스타트업 100'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