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종헌 S2W 오펜시브연구팀장이 지난 26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2025 국제사이버범죄대응 심포지엄(ISCR 2025)'에 참석해 '생성형 AI 시대의 새로운 위협'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S2W 제공
양종헌 S2W 오펜시브연구팀장이 지난 26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열린 '2025 국제사이버범죄대응 심포지엄(ISCR 2025)'에 참석해 '생성형 AI 시대의 새로운 위협'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S2W 제공

S2W는 '2025 국제사이버범죄대응 심포지엄(ISCR 2025)'에서 생성형 AI 시대 신종 보안 위협에 관한 발표를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6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 서울에서 진행된 행사는 올해로 26회를 맞이했다. '사이버세상 속 신뢰: 모두를 위한 안전'을 테마로 열렸다. 사회 각계 사이버범죄 전문가들이 모여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경찰청 수사국 주관 심포지엄이다.

이날 양종헌 S2W 오펜시브연구팀장은 'AI 에이전트 및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취약점 및 보안 위협'을 주제로 발표했다. ▲프롬프트 인젝션 ▲모델 포이즈닝 ▲악성도구를 이용한 권한 상승 등을 포함해 대규모 언어모델(LLM) 기반 AI 에이전트 및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취약점을 공략한 대표적인 보안 위협 8종과 대응책을 소개했다. 

또 ▲랭스미스 랭체인 허브 어뷰징 ▲레노버 '레나' 챗봇 XSS ▲아마존 Q 개발자 플러그인 어뷰징 등 올해 발생한 생성형 AI 위협의 주요 사례들을 소개했다. 데이터 보호 정책 수립과 정교한 접근 제어,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한 보안 대책 마련 필요성도 강조했다.

양 팀장은 "S2W는 생성형 AI가 야기한 새로운 위협 환경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고도화된 방어 체계를 구축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S2W는 '시큐리티 가드레일'을 구현해 자사의 산업 특화 AI 플랫폼 'SAIP'에 탑재했다. 이를 통해 생성형 AI 서비스 운용 과정에서 파생될 수 있는 각종 사이버 위협에 대응 중이다. 

위협인텔리전스센터 '탈론'에서는 온톨로지 기반 지식그래프 기술을 바탕으로 악성코드 및 취약점과 위협 행위자 간 연관성을 정밀하게 파악해 지능화되고 있는 AI 기반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최적의 방어 전략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