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채널' 로고 UX 새단장…UAE '스마트시티 파트너십' 체결
LG전자가 '질적 성장'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LG전자는 ▲전장 및 냉난방공조(HVAC) 등 기업(B2B) 사업 ▲구독 및 플랫폼 등 비하드웨어(Non-HW) 사업 ▲소비자직접판매(D2C) 사업을 질적 성장 3대 축으로 꼽고 있다.
25일 LG전자는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FAST) 'LG 채널'을 재편했다고 밝혔다.
LG채널은 LG전자 질적 성장 전환의 핵심인 플랫폼 사업의 핵심 서비스다. 스마트TV 플랫폼 웹운영체제(OS) 대표 콘텐츠 서비스다. 33개국에서 시청할 수 있다.
LG전자는 이달 말 LG채널 신규 로고와 사용자경험(UX)을 제공할 계획이다.
새 LG채널 로고는 LG채널의 'C'와 'H'를 겹친 디자인이다. LG채널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시청자가 만나는 즐거운 순간을 2개의 도형이 교차하는 모양으로 표현했다.
LG전자는 "에너지와 활기를 느낄 수 있는 색감과 국적과 언어를 초월한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글로벌 고객과 소통하겠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LG채널 서비스를 업그레이드 한다. 고객 친화적 성격을 강화했다. 콘텐츠를 보다 쉽고 빠르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했다. 고객의 시청 패턴과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한 맞춤형 경험을 지원한다.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시청 이력과 취향을 반영한 콘텐츠를 홈 화면에서 추천한다. 콘텐츠 시청 후 연관 콘텐츠를 추천해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했다. 리모컨 'OK' 버튼을 누르면 시청 콘텐츠를 유지하고 전체 TV 채널 가이드 등을 띄워준다. 지역별 특화 서비스도 추가한다.
조병하 LG전자 웹OS플랫폼사업센터장은 "LG채널만의 즐거움을 담아낸 새로운 로고와 고객 친화적으로 진화한 서비스로 고객의 FAST 서비스 시청 경험을 혁신하며 글로벌 FAST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HVAC 사업도 확대했다. 지난 19일 LG전자는 아랍에미리트(UAE) 정부 산하 '엑스포시티 두바이'와 '스마트시티 건설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엑스포시티 두바이는 '2020 두바이 엑스포' 부지에 3.5제곱킬로미터(㎢) 규모 스마트시티를 건설 중이다. LG전자는 HVAC 설루션과 AI홈 기반 스마트홈 설루션 공급을 추진한다. LG전자는 2020 두바이 엑스포에 발광다이오드(LED) 사이니지를 판매한 바 있다. 스마트시티 3000세대 빌트인 가전 납품 계약도 체결했다.
LG전자는 중동 지역에서 개인(B2C) 기업(B2B)에 이어 정부(B2G)까지 고객사로 확보하는 등 사업을 확장할 방침이다.
조주완 LG전자 대표는 "LG전자의 차별화된 HVAC 기술력과 AI홈 허브 기반 스마트홈 설루션은 UAE 정부의 미래 비전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며 "국가 주도의 프로젝트가 많은 중동 지역에서 B2G 영역의 신규 사업기회 확보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
관련기사
- 삼성전자, 임원 161명 선임 세대교체 속도…'AI·로봇·반도체' 중용
- [기자수첩] '구마유시'가 보여준 이별의 품격
- [테크M 트렌드] 크리스마스 옷 입은 백화점..."공간 마케팅의 진수"
- 컬리 손잡은 네이버, 커머스 시장 흔든다...쿠팡 추격전 돌입
- '꿩먹고 알먹고' 네이버·두나무 동맹이 가져올 나비효과
- '이재용 네트워크' 또 통했다...삼성, 인도 최대 기업 릴라이언스 전방위 협력
- 대동, ESG 평가 '통합 A등급' 획득...3년 연속 상승 '쾌거'
- [크립토 브리핑] 주요 가상자산 하락세 전환...비트코인 1억2860만원대로 '뚝'
- 해시드·국민銀 합작사 코다, 100억원 투자 유치...커스터디 시장 신뢰도 강화
- 고명수 알뜰폰협회 대표 "가계통신비 인하 지속, 도매대가 인하 필요"
- 놀유니버스 '강원도 소상공인 상생 협력관' 숙박업체 매출 증대 효과
- 카카오모빌리티, 연말연시 승차난 대비 '탑승 성공률' 높인다
- 카카오, '제14차 UN 기업과 인권 포럼' 참석...AI 공공 기여 사례 발표
- 저작권 보호 앞장선 네이버웹툰 서충현 리더, 문체부 장관 표창 수상
- [테크M 리포트] '아이온2' 흥행 속 자체결제 빛났다...엔씨소프트, 비용 효율화로 기업 가치 'UP'
- 카카오, '이모티콘 스튜디오' 전면 개편...제작 편의성 강화
- 쿠팡, 전문관 론칭으로 경쟁력 강화..."카테고리 세분화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