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엔비디아가 3D 콘텐츠 제작 방식을 뒤흔들 새로운 카드를 꺼냈습니다. 단순한 텍스트 입력 만으로 수십개의 3D 객체를 자동 생성해내는 'AI 블루프린트'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게임 디자인부터 건축·미디어 제작까지 창작 워크플로우를 크게 뒤바꿀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AI 블루프린트는 사용자가 아이디어를 프롬프트에 입력하면, 내장된 거대 언어 모델이 장면에 포함될 객체 20개를 제안합니다. 이 과정은 엔비디아의 NIM 마이크로서비스가 가속화하고, 제안된 객체들은 엔비디아의 텍스트-이미지 프레임워크 '사나'를 통해 프리뷰 형태로 구현됩니다. 아티스트는 이 프리뷰를 자유롭게 수정하거나 삭제하면서 초기 작업을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후 완성된 초기 객체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가 개발한 '트렐리스'와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통해 실제 3D 모델로 변환됩니다. 이 프로세스는 기존 대비 20% 더 빠른 속도로 고품질의 에셋을 제작할 수 있으며, 복잡한 형태와 질감까지 세밀하게 구현합니다.

완성된 에셋은 오픈소스 툴인 '블렌더'로 자동 전송돼 후속 편집이 가능하고, 다른 3D 애플리케이션으로도 내보낼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 기술이 특히 프로토타이핑 작업에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아티스트가 임시 에셋 제작과 반복 수정에 많은 시간을 들여야 했지만, 이제는 AI가 중간 과정을 대신해 창의적인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엔비디아 측은 "복잡한 워크플로우 설정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패키지 형태로 단순화 했다"며 "AI 블루프린트가 3D 창작 환경에서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AI 블루프린트가 앞으로 게임·건축·미디어 제작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