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3D 콘텐츠 제작 방식을 뒤흔들 새로운 카드를 꺼냈습니다. 단순한 텍스트 입력 만으로 수십개의 3D 객체를 자동 생성해내는 'AI 블루프린트' 기술을 공개했습니다. 게임 디자인부터 건축·미디어 제작까지 창작 워크플로우를 크게 뒤바꿀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번에 공개된 AI 블루프린트는 사용자가 아이디어를 프롬프트에 입력하면, 내장된 거대 언어 모델이 장면에 포함될 객체 20개를 제안합니다. 이 과정은 엔비디아의 NIM 마이크로서비스가 가속화하고, 제안된 객체들은 엔비디아의 텍스트-이미지 프레임워크 '사나'를 통해 프리뷰 형태로 구현됩니다. 아티스트는 이 프리뷰를 자유롭게 수정하거나 삭제하면서 초기 작업을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후 완성된 초기 객체는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가 개발한 '트렐리스'와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를 통해 실제 3D 모델로 변환됩니다. 이 프로세스는 기존 대비 20% 더 빠른 속도로 고품질의 에셋을 제작할 수 있으며, 복잡한 형태와 질감까지 세밀하게 구현합니다.
완성된 에셋은 오픈소스 툴인 '블렌더'로 자동 전송돼 후속 편집이 가능하고, 다른 3D 애플리케이션으로도 내보낼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는 이 기술이 특히 프로토타이핑 작업에 강력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아티스트가 임시 에셋 제작과 반복 수정에 많은 시간을 들여야 했지만, 이제는 AI가 중간 과정을 대신해 창의적인 작업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엔비디아 측은 "복잡한 워크플로우 설정을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패키지 형태로 단순화 했다"며 "AI 블루프린트가 3D 창작 환경에서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였습니다.
AI 블루프린트가 앞으로 게임·건축·미디어 제작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불러올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상반기 보이스피싱 피해액만 6000억원..."AI 정책에 보안 대책 반영해야"
- "구글-애플 인앱결제 강제의 그늘…국내 기업·소비자 줄줄이 피해"
- 주병기 공정위원장 후보자 "배달 플랫폼 수수료 상한제 필요하다"
- [LCK 브리핑] "언더독의 반란"...피어엑스, 난적 DK-농심 꺾고 PO행
- [글로벌] 일론 머스크 "올해 말 무인 로보택시 가능"...앱 출시로 시장 확대
- [글로벌] 오픈AI, 내년 'AI 일자리 플랫폼' 공개...직무 인증으로 인재·기업 연결
- AI 기업 휴멜로, LLM 아닌 '니치'에서 길 찾았다...보이스에 집중해 자체 엔진 고도화
- '갤럭시 AI'에 눈돌리는 소비자...애플 '아이폰 17' 반전 카드 될까
- 'AI 컨트롤타워' 과기부총리 신설...방통위 폐지하고 '방송미디어통신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