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야심작 'LG 윙' 온라인 공개
LG전자의 새로운 폼팩터 스마트폰 'LG 윙'은 기존 스마트폰에서 볼 수 없었던 독특한 기능을 대거 탑재했다.
14일 LG전자가 공개한 LG 윙의 메인 스크린에는 6.8형 20.5대 9 화면비의 노치리스 올레드 풀비전 디스플레이(Notchless OLED FullVision Display)가 탑재됐다. 일반 스마트폰과 달리 화면에 전면 카메라 영역이 없어 영상을 시청하거나 게임을 할 때, 몰입감이 극대화된다.
LG전자는 노치리스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일체형 전면카메라 대신, 별도의 3200만 화소의 팝업 카메라를 적용했다. 이 카메라는 평소에는 모습을 보이지 않다가, 전면 카메라를 실행하면 본체 상단에서 나타난다.
동영상 감상에 딱이네
LG 윙의 스위블 모드는 동영상 시청에 최적화됐다. 가로로 동영상을 시청할 때도 세컨드 스크린을 한 손에 쥐고 편하게 감상할 수 있다. LG전자는 '그립 락' 기능을 적용해 스위블 모드로 영상을 볼 때 세컨드 스크린의 버튼이 눌리지 않도록 했다.
세컨드 스크린은 영상을 컨트롤하는 미디어 콘트롤러로도 활용할 수 있다. 화면 안에 일시정지, 빨리감기 등의 콘트롤 박스가 있어 영상 몰입도가 떨어지던 기존 스마트폰과 달리, 화면을 가리는 요소 없이 온전한 영상 감상이 가능하다.
LG전자는 LG 윙 기획 단계부터 고객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일상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카메라 기능을 추가했다. LG 윙의 후면에는 각각 6400만(광각), 1300만(초광각), 1200만(초광각) 3개의 카메라가 탑재돼 풍경, 인물 등 다양한 화각의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세계 최초 '짐벌 모션 카메라' 탑재
LG전자는 LG 윙만이 가지고 있는 폼팩터의 장점을 극대화 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짐벌 모션 카메라' 기능을 적용했다. 짐벌(Gimbal)은 스마트폰이나 카메라 등으로 영상을 촬영할 때 카메라가 흔들리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임을 만들어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영상 촬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문 장비다.
LG 윙을 스위블 모드로 전환해 촬영하면 스마트폰이 'ㅜ'자 형태가 되며 한 손으로도 편하고 안정감 있게 촬영할 수 있다. 기존 스마트폰에서는 가로 영상을 촬영할 때 두 손으로 양 끝을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LG전자는 세컨드 스크린에 ▲스마트폰을 움직이지 않고도 카메라 앵글을 조정할 수 있는 '조이스틱' ▲피사체를 상하좌우 흔들림 없이 촬영하는 '락(Lock)' 모드 ▲스마트폰이 빠르게 움직여도 카메라가 천천히 따라오며 흔들림 없이 촬영하는 '팔로우(Follow)' 모드 ▲수평하게 이동하며 상하 흔들림 없이 촬영하는 '팬 팔로우(Pan Follow)' 모드 ▲다이나믹한 움직임을 촬영하기에 적합한 'FPV(First Person View)' 모드 등 동영상 촬영 전문 장비인 짐벌과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누구나 쉽게 전문가 수준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LG전자는 '듀얼 레코딩' 기능도 선보인다. 듀얼 레코딩은 후면 카메라와 전면 팝업 카메라를 동시에 사용해 촬영자와 찍고 있는 화면을 함께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다. 파일을 하나로 혹은 따로 저장할 지 선택할 수 있고, 화면비율도 활용하는 플랫폼에 맞춰 1대 1이나 16대 9 가운데 선택이 가능하다.
LG 윙의 세컨드 스크린을 활용하면, 영상 편집도 간편해진다. 편집할 영상은 메인 스크린에, 편집툴은 세컨드 스크린으로 분리해 좀 더 섬세한 편집이 가능하다. LG 벨벳부터 본격 적용돼 실사용 고객들의 호평을 받고 있는 타임랩스(Time Lapse), 보이스 아웃포커스(Voice Outfocus), ASMR 등 크리에이터트 킷도 탑재했다.
'LG 그램'에게 전수받은 경량화 비법
LG전자는 LG 윙에 복합 경량화 소재인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고, 초경량 노트북 'LG 그램'의 경량화 노하우를 벤치마킹 해 무게를 줄였다. 제품의 외형과 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부분에 구멍 내 전체 무게를 줄이는 타공 기법을 적용, 경량화에 집중했다.
LG 윙은 기본모드나 스위블 모드에서 모두 무게 중심이 제품의 중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인체 공학적 설계가 적용됐다. 따라서 장시간 들고 사용해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LG전자는 고객이 전면 팝업 카메라로 촬영 중 제품을 떨어트리는 경우를 대비해 가속도 센서가 낙하를 감지하면 바닥에 떨어지기 전 카메라가 다시 제품 안으로 들어가도록 설계했다.
LG전자는 LG 윙의 메인 스크린이 견고하고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도록 모바일용 초소형 힌지(Hinge)를 자체 개발했다. 이 힌지에는 특수 설계된 유압식 댐퍼 기술이 적용돼 화면이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또 LG전자는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컨드 스크린에 스크래치를 내지 않고, 부드러운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해 세컨드 스크린 주변을 윤활성이 좋은 폴리옥시메틸렌(POM) 소재로 특수 처리했다.
그 결과 스위블 동작 시 메인 스크린이 시간을 갖고 천천히 움직여 고급스러운 손맛을 구현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메인 스크린이 회전 후 돌아오는 스위블 동작을 20만회 이상 반복 테스트해 스위블 동작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했다.
LG전자는 LG 윙에 퀄컴의 5G 통합 칩셋인 '스냅드래곤 765G 5G'를 탑재했다. 스냅드래곤 765G 5G는 퀄컴이 최초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5G 모뎀을 통합한 칩셋이다. LG 벨벳에 탑재된 '스냅드래곤 765' 대비 10% 더 빠른 그래픽 렌더링 속도와 게이밍 성능을 강화했다. 또 7나노미터(nm) 공정으로 설계돼 배터리 사용 효율 높다는 평이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스마트폰, 싸게 싸게 팔아볼랑께"
- '가을대전' 스마트폰 新폼팩터 4인방 전력 분석
- [주목 테크M] '윙'이 LG전자의 자존심을 세워줄 수 있을까
- [FreeView] LG 윙의 '마이웨이'
- [포토] "접지 말고 돌려" LG전자 스위블 스마트폰 'LG 윙' 출격
- [세가지시선] 혁신 중무장 'LG 윙', LG폰 부활 조짐 보여줬다
- [세가지시선] 'G·V 시리즈' 버린 LG전자, 화면 '윙윙' 돌려 6년적자 극복?
- [LG윙 공개] 접지 않고 돌린 이유 알겠지?(종합)
- '폴드' 보다 나은 '윙'의 세가지 강점
- 이통3사 'LG윙' 출시, 지원금 KT가 가장 높다... 최대 24만원
- [템TV가 간다] 스마트폰 돌리면 짐벌로? 'LG 윙' 카메라 체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