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은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대표 / 사진 = 한국MS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기업서비스(B2B)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는 한국마이크로소프트(MS)가 "코로나19를 디지털 안착의 기회"라고 강조하며 고객사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10일 한국MS는 시장조사기관 IDC와 함께 온라인으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많은 기업이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위기를 기회로 삼고 있다"며 "자체 디지털 역량을 구축한 기업들은 현재 위기를 더욱 빠르고 강하게 극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MS가 IDC와 공동으로 조사한 '아태·한국 기업 혁신 문화'에 따르면, 국내 기업 48%는 팬데믹을 새로운 기회로 인식했다. 이중 81%는 회복탄력성 확보에 있어 혁신 능력을 중요하게 판단했다. 즉 회복탄력성은 혁신 문화를 기반으로 하며 이는 기술 집중도를 기반으로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 대표는 "마치 고무줄을 당겼을 때 원래대로 돌아가는 탄력성처럼 변화의 국면에 빨리 대응하는 회복탄력성을 키우려면 결국 기술집약(내재화)가 핵심"이라며 "이를 위해선 기술 플랫폼과 혁신 문화, 디지털 역량 강화, 운영 모델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그는 조직이 높은 회복탄력성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피드백 루프와 3R을 소개하며 기업의 디지털 혁신 전략을 제시했다. 디지털 피드백 루프는 MS가 제안하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솔루션 모델로 데이터와 인텔리전스를 핵심에 두고 있다. 고객에서 직원, 영업에서 제품까지 모든 비즈니스를 디지털로 연결하는 개념이다. 

이때 각각 영역에서 생산되는 데이터를 연결시키고, 인텔리전스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창출할 수 있다. 기업은 이를 통해 ▲직원 역량 강화 ▲고객 접점 확대 ▲고객과 직원을 위한 운영 최적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기반의 제품 혁신 등을 실현하고 지속성장 모델을 수립한다.

조직이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을 이루는데 필요한 3R도 강조했다. 이 대표는 "3R은 대응(Respond)과 회복(Recovery), 재구상(Reimagine)을 뜻하며 이는 기업마다 대응하는 방식이 다르다"며 "데이터와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수용하는 재구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MS는 디지털 피드백 루프와 3R을 적용한 다양한 국내 사례를 소개했다. 온라인 개학을 위해 클라우드 기반으로 기존 서버 1500배를 긴급 증설하고 전국 중·고교생 최대 300만명이 동시접속 가능한 공교육 인프라를 마련한 EBS를 비롯해 보안성 높은 비대면 환경을 조성한 SK건설, OTT 서비스 플랫폼 웨이브 등이 대표적이다.

이 대표는 "우리는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 위기가 되고, 속도를 내면 기회가 되는 급변하는 세상에 살고 있고 지금은 속도를 내야할 때"라며 "국내 기업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기술을 기업 고유의 것으로 내재화하는 테크 인텐시티(Tech Intensity)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국마이크로소프트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