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고(故) 이건희 회장의 생전 재산 30조원 중 절반이 넘는 15조원 이상의 사회환원 계획을 발표한 데는 평소 "기업은 사회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고인의 유지를 받든 이재용 부회장 등 유족의 결단이 결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8일 삼성전자는 이재용 부회장을 포함, 이 회장 유족인 총수 일가가 의료 공헌, 미술품 기증, 상속세 등을 통해 사회환원을 실천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국가경제 기여, 인간 존중, 기부문화 확산 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역설한 고인의 뜻을 기리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가장 관심이 뜨거웠던 상속세와 관련해선 당초 재계에서 전망했듯이 이 부회장을 비롯한 유족들은 12조원 이상의 상속세를 연부연납 방식으로 5년간 분납할 계획이다. 이 부회장은 "세금 납부는 국민의 당연한 의무로 마땅히 해야할 일"이라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 '이중과세'라고 제기되는 상속세 납부를 정공법으로 돌파하기로 결정한 데에는 사회적 논란을 차단하면서도 고인이 강조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특히 이 부회장은 평소 인간존중과 인류사회 공헌의 철학을 강조해온 고인의 뜻을 받들어 감염병 전문병원 건립 및 소아암 환아 지원 등에 1조원을 기부하는 의료공헌까지 결정했다. 실제 이 회장은 지난 1997년 이병철 선대회장 창업주 10주기 추모식에서 "유가족은 앞으로 선친의 철학과 이념을 계승·발전시켜 나가는데 한 뜻으로 힘을 합쳐나갈 것"이라며 "기업이 국민경제에 공헌하고 사회발전에 기여해야 한다는 선친 염원대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데에 앞장서겠다"고 말한 바 있다.
취임 30여년간 글로벌 기업 삼성을 일궈낸 고인이 그동안 가꾼 유산은 국가 발전과 상생 등의 사회 공헌을 위해 앞으로도 이 부회장이 받들어 확장시켜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부회장은 2019년 11월에 열린 삼성전자 창립 50주년 기념식때 "같이 나누고 함께 성장하는 것이 세계 최고를 향한 길"이라며 선친의 뜻을 받들어 이어가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강조한 바 있다.
이수호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