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관 이끄는 우주 사업 컨트롤타워 '스페이스허브' 주목 UP
한화시스템이 세계적인 우주인터넷 기업 원웹(OneWeb)에 3억 달러(약 3450억원)를 투자한다. 한화시스템은 12일 "원웹과 투자 계약을 체결하고 영국 정부, 세계 3대 이동통신사 바르티(Bharti Global), 세계 3대 통신위성 기업 유텔샛(Eutelsat), 일본 소프트뱅크(SoftBank) 등과 함께 이사회에 합류한다"고 밝혔다.
원웹, 내년 글로벌 '우주인터넷' 서비스 시작…"한화는 원웹의 강력한 파트너"
원웹의 주력 사업은 저궤도에 수많은 위성을 띄워 전 세계에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우주인터넷이다. 원웹은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우주인터넷용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지금까지 8차례 발사를 통해 지구 주변을 도는 저궤도 위성 254기를 운영하고 있다. 오는 19일에도 위성 34기를 추가로 쏘아 올리고, 내년엔 위성 648기로 우주인터넷망을 완성해 글로벌 우주인터넷 서비스를 본격 시작한다. 원웹은 세계 위성을 관할하는 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을 통해 글로벌 주파수 우선 권한도 확보한 상태다. 오랜 시간이 필요한 우주사업 기반 공사가 끝난 셈이다.
위성 제작과 발사, 위성 신호 수신과 분배는 각 분야 세계 최고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다. 위성 제작을 위해 유럽 최대 항공기 제조기업 에어버스(Airbus)와 합작 회사를 만들었다.
위성을 실어 올릴 로켓은 수많은 발사 실적이 입증된 아리안스페이스(Arianspace)·소유즈(Soyuz)와 협력한다. 지상에서 위성 신호를 받아 분배하는 게이트웨이(Gateway)는 미국의 대표적 네트워크 기업 휴즈(Hughes)와 협력하고, 이용자에게 '우주인터넷'을 제공하는 건 원웹의 주요 주주이자 사업 파트너인 바르티·유텔샛 등 세계적 통신기업들과 함께할 수 있다.
한화시스템은 세계적인 위성·안테나 기술을 바탕으로 원웹과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원웹의 최대주주인 바르티 그룹의 회장 수닐 바르티 미탈(Sunil Bharti Mittal)은 "한화시스템은 전 세계를 연결하려는 우리(원웹)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강력한 파트너(powerful partner)'가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글로벌 투자사 UBS도 원웹과 한화시스템의 상호보완적 기술력을 고려해 양 측에 적극적으로 이번 협력을 조언했다.
스페이스허브(Space Hub) 글로벌 '뉴 스페이스' 무대 데뷔
한화는 이번 투자로 세계 뉴 스페이스(New Space) 무대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게 됐다. 또 현재 정부 주도의 우주 탐사(올드 스페이스·Old Space)가 민간 주도의 우주 사업(뉴 스페이스)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화그룹의 우주 사업 컨트롤타워인 스페이스허브(Space Hub)의 역할도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지난 3월 출범한 스페이스허브는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이 직접 팀장을 맡고,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와 인공위성기업 쎄트렉아이가 참여하고 있다.
원웹의 CEO 닐 마스터슨(Neil Masterson)은 "한화시스템은 원웹의 라인업에 최고급 위성·안테나 기술을 더해줄 수 있다"면서 "우주를 통해 전 세계를 연결하는 혁신의 여정에 함께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우주산업 관련 시장은 연일 기하급수 팽창하는 모습이다. 모건스탠리는 우주인터넷 시장 규모가 20년 안에 최대 5820억 달러(약 67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 혁신가들의 등장으로 크게 힘을 받는 모습이다.
대표적으로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가 '스타링크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인터넷시대를 열겠다는 꿈을 밝힌데 이어 아마존의 CEO 제프 베조스 역시 블루오리진을 통해 우주개발 산업에 뛰어든 상황이다. 글로벌 ETF 시장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는 캐서린 우드의 'ARK Invest'가 우주항공 산업에 목돈을 투입하면서 자연스럽게 국내 우주항공 관련주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