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이버전 확대, 국내 기업 대상 해킹 및 정보유출 증가 등 사이버 위협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공공·민간 분야 사이버 위기 경보를 일제히 상향 조정했다.
21일 국가정보원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전 9시를 기점으로 기존 '관심' 단계였던 국가 사이버위기 경보를 '주의'로 상향시켰다. 사이버 위기경보는 위험수준에 따라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 등 5단계로 구분된다. 이번 상향 조정은 지난해 8월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국정원은 "이번 단계 상향 조치는 쵝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사이버전 확대, 러시아 경제제재 참여국 대상 사이버보복 우려, 정부 교체기 정책 자료 입수 목적 해킹시도 등 사이버 안보 위협 고조에 따른 선제적 대응 조치"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또한 "최근 우크라이나 산태 관련 사이버전 확산,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랜섬웨어, 정보유출 사고 발생 등 국내·외 사이버 위협이 고조됨에 따라 선제적, 체계적 대응을 위해 경보를 상향 조정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상향 조치에 따라 각 기관들은 ▲자체 '긴급대응반' 가동 ▲보안관제 강화 등 자체 위기대응 실무매뉴얼에 따른 조치를 취해야 한다. 또 민·관·군은 사이버 위협 정보공유 등 상황발생에 대비해 24시간 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기관 및 기업은 정보시스템 취약점 사전점검 및 조치를 취해야 한다.
국정원은 "위기 경보는 상향 조정하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 따른 각급 기관의 인력운용 부담을 고려하겠다"며 "기관 자육적으로 인력 증원 등 대응 수준을 결정토록하고 사이버 위협 완화 판단 시 '주의' 경보를 하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
- 고조되는 사이버 안보 위협에 보안 기업들 '주목'
- 삼성전자 해킹에 전문가들 "소스코드 악용한 2차 피해 발생 가능성 높아"
- [테크M 리포트] 삼성전자 털리고, 구글 빅딜까지...올해 텐버거 '보안'에서 나온다
- [글로벌] 구글, 보안 업체 맨디언트 6조원에 인수...클라우드 강화 나선다
- 삼성 해킹한 랩서스, 다음 타깃으로 영국 '보다폰' 지목
- 고조되는 사이버 안보 위협...'사이버보안청' 신설 가능성 주목
- [글로벌] 엔비디아·삼성 이어 유비소프트도...연이은 해킹 피해에 불안감 커져
- 명품 플랫폼 발란, 고객 개인정보 해킹 당해..."현재 조사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