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 화면 갈무리
네이버 동네시장 장보기 화면 갈무리

 

네이버가 중소상공인(SME) 상생 플랫폼으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고, 온라인 창업자를 육성하며 생태계 확장에 가시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

25일 네이버는 '동네시장 장보기' 서비스 거래액이 서비스 출시 이후 약 74배, 주문건수도 61배 증가하며 전통시장 SME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네이버의 '동네시장 장보기'는 전통시장 상인들의 온라인 판로와 비즈니스 확대를 견인해온 대표적인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지역 전통시장에서 파는 신선 식재료와 먹거리를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2시간 또는 당일 내에 배달 받을 수 있다. 

네이버는 시장 상인들에게 무료로 플랫폼을 제공하며, 운영과 배달은 스타트업 및 지역 배송업체와 협력하는 구조다. 2019년 1월부터 시작해 2021년 6월 100호 시장이 입점한 데 이어, 현재는 170개의 전통시장이 '동네시장 장보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동네시장을 모바일로 손쉽게 둘러보고 네이버페이로 바로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 편의성과 전통시장 상인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시너지가 더해져 경쟁력도 높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다양한 광고 노출을 통해 시장 상인들과 사용자들의 연결을 확대하고, 친환경 부자재를 제공하면서 물류 부담을 낮추고 있다.

이에 따라 '동네시장 장보기'의 최근 재구매자 비중은 60% 이상으로 단골 손님들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다. 네이버에 따르면 서비스 초반 서울·경기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참여 시장도 현재는 전국으로 확장되어 수도권 외 지역 전통시장 입점 비중은 40%에 달한다.

'동네시장 장보기' 1호 시장인 암사종합시장은 누적 거래액 23억, 누적 주문건수는 20만 건을 넘어섰다. 디지털 전환 성공 사례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암사종합시장의 '순수한찬'은 기존 오프라인에서 팔지 않던 찌개와 국, 과일 도시락 같은 온라인 전용 상품을 개발하고,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온라인 판매 활성화에 적극 나섰다. '순수한찬'의 대표 상품인 잡채는 누적 리뷰가 1300건, 평점 4.7을 기록하며 사용자들에게도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러한 성과엔 2013년부터 쌓아온 SME 지원 노하우가 더해졌다는 분석이 많다. 당시 네이버는 프로젝트 꽃이라는 이름으로 매년 1만 명의 온라인 창업을 만들어내는 계획을 발표했다. 6년이 지난 현재 목표치를 크게 상회하는 50만 명의 온라인 창업자들을 육성했다.

SME가 자신의 스토리를 올리고 상품을 구성해 독립 스토어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 '스마트스토어'와 사업 전략 수립에 도움을 주는 데이터 분석 툴인 '비즈어드바이저', 결제 외에도 회원 가입부터 배송 추적, 포인트 적립까지 총체적인 주문 관리를 지원하는 '페이 시스템', 고객 대응 도구인 '챗봇',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한계를 극복해 낸 마케팅 플랫폼 '라이브커머스' 등이 대표적이다.

SME들은 네이버 플랫폼에 엄청난 활력을 만들어내고 있다. 산지의 생산자부터 가죽 공방의 사장님까지, 수많은 분들의 다양성을 품어낼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 한 것. 올해 2분기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거래액은 전년대비 16.9% 증가한 6조6000억원을 달성했다. 

이윤숙 포레스트 사내독립기업(CIC) 대표는 "네이버는 '프로젝트 꽃'이라는 이름으로 SME, 전통시장 등과 함께 성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왔다"라며 "로컬 상권 육성과 온라인 비즈니스 생태계 조성은 네이버도 항상 고민해왔던 만큼, 네이버가 보유한 정보 기술(IT)과 다양한 서비스가 SME의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