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위믹스의 상장폐지를 결의한 디지털자산 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28일 입장문을 내자, 위메이드 또한 반박문을 게재하며 억울함을 토로하고 있다.
이날 위메이드는 "위믹스가 충분히 소명을 못했고, 훼손된 신뢰를 회복하지 못해, 각 회원사의 일치된 결론에 따라 거래지원을 종료하였다는 거래소 공지문은 사실과 다르다"며 "저희는 소명을 넘어서 증명까지 했고, 소각물량이 유통량에 포함돼 유통량이 실제보다 많아 보이는 까닭에 대해서도 충분히 소명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소명(疏明)이란, 특정 일이나 주제에 대한 그 까닭이나 이유를 밝혀 설명하는 것을 의미하며 위믹스는 유통 계획량을 초과하는 실제 유통량에 대해서, 이견이 있을 수 있는 코코아파이낸스 담보 제공에 대해서도 시시비비를 따지지 않고, 투자유의 조기해제를 통해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 빠른 원상복구 이후 소명을 진행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10월 말, 11월 15일을 비롯한 많은 시점들을 기준으로 한 재단 보유량, 그에 따른 유통량을 소명 뿐만 아니라 온체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증명(證明)까지 했는데 소명이 부족했다는 DAXA의 입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오히려, 그들에게는 유통량이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라는 의구심마저 든다"고 지적했다.
해당 관계자는 "유통 계획량을 초과한 실제 유통량이라는, 그들이 주장하는 위믹스의 투자유의 종목 지정 사유는 애시당초 문제가 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며 "최근 유통량 계획을 위반한, 혹은 유통량 계획이 아예 없는 코인과 토큰들을 대하는 업비트의 안일한 봐주기식 대처는 이를 방증한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다시 한번, 위믹스팀은 DAXA에 촉구한다"며 "위믹스팀의 불충분한 소명과 훼손한 신뢰가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이는 이전의 투자유의 종목 해제를 위한 소명이 아닌, 위믹스를 목표로 때로는 경쟁자로, 그리고 동반자로 생각하고 함께 달려온 많은 블록체인 회사들과 가상자산 투자자분들, 그리고 커뮤니티를 위해 성심껏 소명하고 증명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번 사태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대한민국 기업의 신인도와 경쟁력이 훼손되어서는 안된다"며 "약간 늦춰졌지만 아직 멈추지 않았고, 이 사태를 최대한 조기 해결하는 것이 최선임을 직시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