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대비 최대 55% 전력 절감
2030년까지 약 10 GWh 전력 및
5000톤 탄소 감축 목표
SK텔레콤은 인텔과 협력해 전력 감축 및 탄소 절감을 위한 5G망용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전력 절감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SK텔레콤과 인텔이 협력해 연구개발한 'DPS(Dynamic Power Saving)'는 5G망용 데이터센터 중, 클라우드 방식으로 가상화 한 서버에서 사용되는 CPU나 메모리 등 주요 부품 소모 전력을 실시간으로 고객 트래픽 추이에 따라 조정해주는 기술이다.
이동통신망을 구성하는 데이터센터는 다량의 클라우드 방식 가상화 서버로 구성되며, 5G 이동통신의 고객 데이터 트래픽 처리를 주로 담당한다. 기존 가상화 서버는 트래픽의 양과 관계 없이 항상 최대 성능을 설정해 최대치의 전력과 탄소를 소모했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대용량 트래픽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 서버의 처리 성능을 동적으로 미세한 부분까지 최적 조정 시켜주는 핵심기술 개발에 성공함으로써 가상화 서버, 나아가 5G망용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과 탄소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과 인텔이 개발한 DPS를 데이터센터에 활용하면 고객의 데이터 트래픽 추이에 따른 24시간 상시 전력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상화 서버의 기존 대비 CPU의 누적 전력 소모량의 42% 절감, 최대 55%까지 절감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 SK텔레콤 측의 설명이다.
또 이번 기술 개발을 통해 데이터 센터에서 배출되는 불필요한 온실가스가 절감되며, 이로 인해 탄소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이번 연구 결과를 추가적인 개선과 검토 과정을 통해 올해 말 상용 장비에 적용 예정이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약 10GWh의 소비를 감축하고 약 5000톤의 탄소를 감축하는 것이 목표다.
SK텔레콤은 올해 DPS 상용화를 위해 주요 파트너와 협력을 추진 중이며, 보다 널리 사용될 수 있도록 양사 간 연구 기술 개발 과정의 노하우를 담은 공동 기술백서도 2월 중 발간할 예정이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 기술 담당은 "인텔과의 지속적인 기술 개발 협력을 통해 5G 인프라의 최적화·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수 있었다"며 "이번 기술은 전력 감축 및 탄소 절감이라는 측면에서 ESG 적으로도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댄 로드리게즈 인텔 네트워크 엣지 솔루션 그룹 총괄 및 부사장은 "SK텔레콤과의 오랜 협력은 네트워크 업계를 위한 또 하나의 기술적 성과를 만들어냈다"며 "인텔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원격측정 기술을 활용하면 SK텔레콤 등 기업들이 뚜렷한 전력 감축 효과를 통해 온실 가스 배출 목표 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허준 기자 joon@techm.kr
관련기사
- SK텔레콤 "SKB 및 하나금융 배당 수익 활용, 자사주 매입 고려"
- SK텔레콤 "올해 에이닷 정식 서비스 출시, 챗GPT 형태 고도화 작업 진행 중"
- SK텔레콤 "무선사업 낙관적, 5G 가입자 유치 경쟁 재발 가능성 낮아"
- SK텔레콤 "2023년 엔터프라이즈 사업 순항, 챗GPT도 긍정적 영향"
- SK텔레콤 고객 3200여명, 지난해 T멤버십으로 100만원 이상 혜택 봤다
- SK텔레콤, 통신데이터에 AI 더해 교통혼잡 해결한다
- 인텔, 제온 워크스테이션 프로세서 출시
- SKT, 퀄컴·인티그리트와 개방형 로보틱스 플랫폼 개발…"MWC서 선보인다"
- SK텔레콤, 美 미디어그룹 싱클레어에 자체 개발 MEC 방송 송출 플랫폼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