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콘텐츠 공룡 넷플릭스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들의 콘텐츠 제공 사업자(CP) 망 사용료 부과 움직임에 대해 "소비자 피해만 초래할 것"이라며 일침을 놨다.
그렉 피터스 넷플릭스 공동 최고경영자(CEO)는 28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 2023' 기조연설에서 "ISP의 이중과금 움직임은 콘텐츠에 대한 투자 감소, 창작 커뮤니티의 발전 저하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고가의 통신사 요금제가 가진 매력을 반감시키고 소비자 피해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넷플릭스, 유튜브 같은 대량의 트래픽을 유발하는 CP에게 망 사용료를 부과하기 위해 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ISP가 망에 대한 막대한 투자 부담을 지고 있는 만큼, 망을 활용해 사업 중인 CP들도 투자를 분담해야 한다는 취지다.
이에 대해 피터슨 CEO는 "브로드밴드 소비자에 더해 엔터테인먼트 회사들 역시 비용을 지불하라는 것은 ISP가 동일한 인프라에 대해 비용을 두 번 청구하는 것과 다름 없다"며 "유럽 소비자 단체연합인 BEUC(European Consumer Organization)가 지적한 것처럼 이러한 ISP의 행동이 소비자들을 위한 더 낮은 가격, 혹은 더 좋은 인프라로 이어진다는 증거는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피터스 CEO는 훌륭한 콘텐츠가 고품질 브로드밴드 인터넷에 대한 수요를 만들고, 반대로 뛰어난 인터넷 연결성이 콘텐츠 소비 경험을 개선하는 '선순환의 고리'를 언급하며 CP와 ISP가 각자의 역할에 충실하며 동반 성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넷플릭스는 지난 5년 동안 매출의 절반에 달하는 600억 달러(약 79조원) 이상 콘텐츠에 투자했다"며 "더 많은 사람들이 더 좋은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원하게 되는 '선순환의 고리'를 위한 역할을 수행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MWC 기조연설에서 티에리 브르통 유럽연합(EU) 내부시장 담당 집행위원의 발언처럼 망 관련 논의는 거대 통신사와 엔터테인먼트 기업 사이에서 양자택일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양자택일이 아닌 엔터테인먼트 회사와 통신사가 각자 잘하는 것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더 좋은 접근방식"이라고 말했다.
또 "인터넷 트래픽 증가는 선도적인 위치의 통신사들이 최근 인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우리 모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이자 곧 엄청난 기회임을 지난 10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며 "늘어나는 수요에는 이에 상응하는 투자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피터슨 CEO는 인터넷의 인기가 높아진 이유에는 소비자들이 어떤 콘텐츠를 언제 즐길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며 한국의 사례를 들기도 했다.
그는 "넷플릭스 한국 시리즈인 '오징어 게임'은 스트리밍 시작 첫 한 달 동안 무려 16억 시청 시간을 기록하며 넷플릭스 사상 가장 성공적인 TV쇼로 자리 매김했다"며 "오늘날 전 세계 넷플릭스 회원의 60% 이상이 '지금 우리 학교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피지컬: 100'등 적어도 한 편 이상의 한국 작품을 넷플릭스에서 시청했다"고 말했다.
피터슨 CEO는 "창작 산업과 인터넷 생태계 사이에는 명징하고도 직접적 관계가 존재한다"며 "훌륭한 콘텐츠를 원하는 소비자는 고품질 인터넷에 더 많은 비용 지불 의향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넷플릭스는 현재 160개 이상의 통신사 및 ISP와 상업적 제휴를 맺고 있으며, 이 중 많은 회사들이 넷플릭스 번들 상품을 소비자들에게 직접 제공하고 있다. 또 이 회사는 1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자체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인 '오픈커넥트'를 구축해 ISP에게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현재 175개국의 6000여 곳에 위치한 1만8000여대의 서버가 오픈커넥트에 연결돼 작동 중이다. 이와 함께 넷플릭스는 파일 크기를 줄이고 대역폭 사용을 최적화하는 인코딩 기술 개발로 2015년과 2020년을 비교했을 때 같은 품질의 동영상을 전달하는데 요구되는 비트를 절반으로 줄였다.
피터슨 CEO는 "인터넷의 인기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업계 예상과 같이 트래픽은 연간 30% 수준으로 증가했고, ISP는 비용 지출의 변화 없이 증가는 소비자들의 사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며 "규제기관 역시 인프라 비용이 트래픽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점, 증가하는 트래픽 소비는 앞서 언급한 효율성으로 인해 상쇄되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고 말했다.
바르셀로나(스페인)=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
- [MWC 23] 역시 통신사 축제...첫날부터 망 사용료 맹공, CP도 '반격'
- [MWC 23]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다음엔 갤럭시로 금성 찍자"
- [MWC 23] 마지막까지 '디지코' 강조한 구현모...KT 글로벌 사업 '싱텔'과 '맞손'
- [MWC 23] KTOA, 유럽통신사업자협회와 협력...공정한 망 비용 분담 모색키로
- [MWC 23] 전성배 IITP 원장, 장관급 프로그램 참여..."6G 준비 원년, 글로벌 협력해야"
- [MWC 23] "망 사용료 받겠다고? 콘텐츠 투자 비용 낼텐가"...통신사 축제서 카운터펀치 날린 넷플릭스 새 CEO
- 통신업계 "포털·OTT도 방발기금 내야"…플랫폼 업계 "성장 저해" 반발
- 넷플릭스 CEO, '망 사용료' 논란에..."CP-ISP, 소비자 위해 협력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