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플랫폼베이스 대표(왼쪽)와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이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사진=LG유플러스 제공
김범수 플랫폼베이스 대표(왼쪽)와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이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사진=LG유플러스 제공

LG유플러스는 산업현장 내 각종 시건 장치를 한 번에 연동해 관리할 수 있는 '무전원 디지털락'으로 출입·안전관리 효율성을 높여 나간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LG유플러스는 관련 특허를 보유한 보안 전문기업 '플랫폼베이스'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플랫폼베이스는 디지털 보안 장치에 대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난 2017년 설립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성장 중이다. 지난해 9월에는 혁신조달을 통한 공공조달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간 해외시장 개척에 집중해 온 이 회사는 본격적인 국내 판로 확대를 위해 LG유플러스와 사업 협력을 결정했다. 지난 3월에는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LG유플러스 전시관에 무전원 디지털락을 출품, 편리한 사용성과 효율적 관리기능으로 관람객들의  관심을 얻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MOU을 통해 자사 5G·LTE 무선 네트워크와 플랫폼베이스 무전원 디지털락을 함께 공급, 공장 디지털 보안 인프라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무전원 디지털락은 스마트키로 암호화된 값을 확인한 후 개폐가 가능한 솔루션이다. 주요 기능으로는 ▲개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기록 ▲허가된 작업자에게만 권한 부여 ▲스마트키 하나로 수량에 관계없는 관리 ▲열쇠 복제 및 불법개폐 발생 가능성 감소 ▲친환경성 등이 있다.

양사는 자재창고 등 시건장치가 많은 일반공장 뿐만 아니라 고위험 시설이 많은 화학·철강 공장과 발전소, 공공기관 등 다양한 산업현장을 중심으로 무전원 디지털락 보급을 확산해 나갈 방침이다. 또 향후 중소·중견 기업에 실용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을 개발할 예정이다.

김범수 플랫폼베이스 대표는 "국내 유일 무전원 디지털락 솔루션을 보유한 플랫폼베이스 기술력과 LG유플러스 무선 통신 기반 스마트 공장 운영기술이 더해져 큰 시너지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임장혁 LG유플러스 기업신사업그룹장은 "무전원 디지털락 솔루션 기업 플랫폼베이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함으로써 산업현장 관리자들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솔루션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산업현장의 스마트화 추세에도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에 머물러 있는 시건 장치를 혁신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가은 기자 7rsilve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