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제공
/사진=픽사베이 제공

중국이 대내외 통제 강화에 나선 가운데 한국 포털사이트 다음에 이어 네이버도 현지 접속이 차단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베이징과 랴오닝성 선양 등 중국 내 주요 지역에서 최근 네이버 접속이 되지 않거나 로딩 속도가 매우 느린 현상이 나타났다. 베이징 교민 중에는 네이버가 열리지 않는다며 불만을 토로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는 전언이다.

해외 교민의 경우 네이버를 통해 각종 생활·여행 정보를 공유하고 물품 거래를 하고 있다. 또 네이버 메일과 네이버 사전을 사용하는 교민도 많다.

중국은 통제를 위해 수시로 국내외 인터넷 사이트를 차단 또는 제한하고 있어 네이버 사이트도 차단 대상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중국에서는 2018년 10월부터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 접속이 차단됐으나, 검색 기능과 메일 접속 등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 인터넷 우회 접속 프로그램인 '가상사설망(VPN)'을 설치해야만 접속이 가능하다. 앞서 중국에서는 2019년 1월부터 포털사이트 다음 접속을 차단한 상태다. 카카오톡도 VPN을 통해야 이용할 수 있다. 

중국에선 구글과 유튜브, 페이스북 등도 이른바 '만리방화벽'에 막혀 VPN이 없으면 이용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이것이 단순한 일시적 접속장애인지, 당국이 접속을 공식 차단한 것인지는 며칠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간 중국에서는 지역별로 인터넷 접속이 잘 안되거나, 중국 내 주요 행사 때 접속이 잘 안되는 경우가 있었다.  

현재 중국 당국은 네이버 차단 관련 어떤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중국이 최근 미국과 갈등 상황의 연장선에서 한국에 사실상 보복 조치에 나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국이 미국, 일본과 안보 경제 분야 보조를 맞추고 대만 문제에 대해서도 발언하는 등 일련의 사태와 무관하지 않다는 관측에서다.

이와 관련해 네이버 측은 "현재 내부에서 구체적인 사실 여부에 대해 확인하고 있는 단계"라고 밝혔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키워드

Top #네이버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