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이 전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네이버와 카카오가 선보이려는 AI 기반 키워드 추천 서비스에 대해 정치권이 '실검 부활'이 아니냐며 공세를 펴고 있다. 정치적 이슈가 있을때마다 공격을 당해 결국 '실검' 서비스까지 폐지했던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번에도 정치라는 벽에 막혀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이지도 못할 위기에 빠졌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들이 AI 서비스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는 시점에 정치권이 또다시 국가대표 기업들의 발목을 잡는 모양새다. 테크M은 정치권의 포털 공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무엇이 문제인지 집중 분석한다. <편집자 주>


네이버·카카오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키워드 추천 서비스를 추진했던 가운데,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과거 폐지됐던 실검을 부활시키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을 여당 의원들이 제기하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포털 때리기'가 본격화됐다는 게 업계의 지배적 평가다.

서비스가 좌초 위기에 놓이자 일각에서는 구글 등 해외 사업자들과 역차별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해외 플랫폼 기업들이 키워드 추천 서비스를 버젓이 운영 중이지만 제제하고 있지 않으면서 유독 국내 기업이 실검과 전혀다른 서비스를 내놓았음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래픽=디디다 컴퍼니 제작
/그래픽=디디다 컴퍼니 제작

 


구글 점유율 급성장...'포털 독립'이 흔들린다

29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는 키워드 추천 서비스 도입을 추진했다. 5~10초 단위로 집계해 순위를 매겨주는 기존의 실검과는 달리 최신 트렌드 키워드를 하루 동안 선보이는 서비스다. 민감한 정치 이슈는 제외됐다. 또 키워드를 순위화하지도 않고, 무작위로 노출한다.

하지만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자, 추진 동력을 잃어가는 모양새다. 국민의힘은 "포털이 내년 총선 앞두고 여론조작과 선동의 놀이터를 양산하는 우를 범하지 말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이에 네이버는 서비스 백지화를 검토중이다. 카카오 또한 베타(시범) 단계다. 언제 중단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양대 포털이 키워드 추천 서비스에 나선 이유는 점유율 감소 때문이다. 웹사이트 분석 페이지 인터넷 트렌드를 보면  지난해 12월 네이버 점유율은 64.8%에서 이달 55.2%로 낮아졌다. 같은 기간 다음도 5.3%에서 4.4%로 줄었다. 반면 구글은 27.5%에서 35.3%로 훌쩍 늘었다.  챗GPT를 탑재한 빙은 1.5%에서 3%까지 성장, 다음의 턱밑까지 올라섰다.


구글-트위터는 실시간 서비스 여전...국내기업만 역차별

해외 플랫폼 기업과 역차별 우려도 심화하고 있다. 구글은 '일별 급상승 검색어'를 보여주는 '구글 트렌드'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유튜브는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인기 급상승' 동영상 서비스를, 트위터는 '실시간 트렌드'를 통해 관심이 집중되는 이슈를 실시간 순위별로 보여준다. 

과거 네이버와 카카오는 실검 폐지 후 구글 등 경쟁 포털뿐 아니라 소셜미디어(SNS)에 트래픽을 뺏긴 전적이 있다. 트위터, 틱톡 등이 실시간 트렌드를 반영하면서 포털 기능을 대체하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포털 때리기가 어부지리로 해외 플랫폼만 이득을 보는 형태가 될지 우려스럽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국내 플랫폼 기업을 향한 '핀셋 규제' 법안인 온플법도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어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국회 토론회를 열고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규제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철규 국민의힘 사무총장과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도 포털의 독과점적 지위를 비판했다.

조영기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사무국장은 '온라인 플랫폼 관련 법률안에 대한 공청회'에서 "(국내 플랫폼 기업더러) 해외에 나가라고 하지만 규제가 계속된다면 사업자 입장에서는 위축될 수밖에 없고 위축된 상태에서 해외에 나가서 치열한 경쟁을 하는 데에 추진력을 받기 어렵다"라며 "(규제를 통해) 국내 플랫폼이 사라진 자리엔, 새로운 플랫폼이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글로벌 플랫폼이 대신하게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