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영아 기자
/사진=이영아 기자

 

구글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인공지능(AI) 학술교류, 인재양성, 연구개발 등 전방위적인 협력안을 발표했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사장은 "대한민국이 AI와 함께 또 한번 이뤄낼 '한강의 기적'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협력 기대감을 높였다.

김 사장은 13일 서울 강남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열린 'AI 위크 2023' 행사에 참석해 "이번 행사를 계기로 구글은 중장기적인 산학협력 지속하는 'AI 인재 파트너'가 될 것을 약속드린다"며 "우리나라 뛰어난 AI 연구자들이 전세계에서도 인정 받을 수 있도록 돕겠다"라고 강조했다.

2016년 'AI 컴퍼니' 전환을 선언한 구글은 전세계 산업계와 다각적인 협력을 이어왔다. 김 사장은 "우리 기업도 AI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전세계 시장에 성공하고 있다"라며 "NC소프트는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언어모델을 만들고 있다"라고 말했다.

중소기업·스타트업 지원에도 적극적이다. 구글은 '구글 스타트업 포 엑셀러레이터', '구글코리아 모델 최적화'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구글은 서울대, 연세대 등 15개 대학에 연구비도 지원하고 있다. 해외 진출을 준비 중인 스타트업 플레인베이글은 엑셀러레이터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과기정통부와 구글은 본 행사를 계기로 한국의 인공지능 분야 발전을 위해 인재양성 및 연구개발 분야의 협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머신러닝(ML) 부트캠프를 통한 인력양성 규모 확대 ▲스타트업 스쿨 운영 ▲AI 연구 관련 학술교류회 개최 ▲공동연구 추진 등이다.

이를 위해 구글이 우리나라에서 운영 중인 머신러닝 부트캠프 참여 규모를 지난해 연 200명에서 500명으로 2.5배 확대한다. 대학생과 현직 개발자들에게 머신러닝 개발자로 거듭날 수 있는 교육과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머신러닝 개발인력이 필요한 국내 회사들에게는 준비된 인재를 연결한다.

또 구글이 해외에서만 운영하던 관련 학위나 직무 경험이 없는 비전공자 대상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을 올해부터 새로 도입하기로 했다.

김 사장은 "우리나라 AI 학자들과 구글 연구자의 교류를 정기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공동 연구를 기획하고, 협력할 것"이라며 "AI 산업 기회를 극대화하기 위해 과기정통부와 긴밀하게 협력해 더 큰 규모로 공동 교육과정 프로그램을 만들 것이다. 미래 인재 육성도 주력하겠다"라고 전했다. 


이영아 기자 twenty_ah@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