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부터 9월 8일까지 일산 킨텍스 'ITU-T' 개최
국제회의 참가해 '양자보안통신' 표준 개발 진행
보안 강도 높은 'QKD', 확장성 뛰어난 'PQC' 결합
시너지 통해 적용 구간 보호 솔루션 연구 진행 중
SK텔레콤이 양자컴퓨터의 공격으로부터 통신 전 과정을 보호하기 위한 '양자보안통신' 기술에 대해 국제 표준 개발 작업에 나선다.
SKT는 ITU-T 정보보호연구반(SG17) 하반기 국제회의에서 양자보안통신 개발을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 ITU-T는 이날부터 내달 8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양자보안통신이란 양자키분배기술(QKD)과 양자내성암호(PQC)의 장점만을 활용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통신보안기술을 뜻한다.
QKD는 원칙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할정도로 강도가 높다.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하며 키 분배장치를 구간마다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어 비용적인 부분에서 장점이 있다. PQC는 양자컴퓨터가 암호를 풀어내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확정성이 뛰어나다는 강점이 있다.
현재 SKT는 양자암호키와 PQC를 통합해 QKD를 적용한 구간을 보호할 수 있는 솔루션 연구를 진행 중이다. 한 구간에 두 기술을 모두 사용해 보안 강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SKT는 오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시행되는 차기 연구 회기에서 표준화 영역을 양자 기술 전반으로 확장하자는 기고도 제출해 이번 회의에서 논의한다.
심동희 SKT 혁신사업팀장은 "아직까지는 상용화가 어렵지만 시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개발이 계속되고 있다"며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됐을때 양자 보안 통신이 무력화되기 때문에 안전한 통신을 만들기 위해 두 기술의 장단점을 결합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는 양자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국제기구에서 표준 수립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기술의 규격과 품질 등에 대한 합의가 정해지면 기술의 발전과 산업화가 촉진되기 때문이다.
양자기술은 글로벌 시장에서 시장규모가 계속 성장하고 있다. 2023 국내외 보안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시장 규모는 2022년 이후 연평균 39.8% 성장해 2030년에는 24조 5793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SKT는 양자컴퓨팅이 상용화 돼 널리 쓰일때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준비해 성과를 낸다는 계획이다.
심동희 팀장은 "양자 암호 시장은 전 세계에서 한국이 가장 앞서 있으며 상용장비에 대한 노하우도 보유하고 있다"며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고 시장을 창출해 차세대를 준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 표준에 대한 시간은 정형화해 얘기할 수는 없지만 빠르면 2년, 길게는 3년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글로벌] IBM 양자 컴퓨터, 슈퍼 컴퓨터 넘는 성능 보였다
- KT, '퀀텀 코리아 2023'에 전시부스 꾸린다...양자암호기술 경쟁력 소개
- SK텔레콤, '퀀텀코리아 2023' 전시회 참여...13년 쌓은 양자 기술력 뽐낸다
- LG유플러스 '퀀텀코리아 2023' 전시회 참여...양자내성암호 기술력 선보인다
- 통신3사, 과기정통부 주최 '퀀텀코리아 2023' 참여...철통 보안 '양자 기술력' 뽐낸다
- 양자 보안 기대감 UP...1세대 소프트기업 '한컴위드'에 쏠리는 눈
- SKT '에이닷', 세계 3대 디자인어워드 'IDEA' 브랜드 본상 받았다
- SKT·유튜브 제휴…웨이브 결합해 영상 선택권 넓힌다
- SKT '해피해빗' 재활용 영역 확대…"페트병 반납하고 포인트 받아요"
- SK브로드밴드, 남극서 양자 암호화한 '드론 4K 영상' 실시간 전송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