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태영 삼정 KPMG 파트너 / 사진=이성우 기자
황태영 삼정 KPMG 파트너 / 사진=이성우 기자

토큰증권(ST)은 밸런스 게임이라는 주장이 나와 주목된다. 과도한 규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BM)인 토큰증권이 가져올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 반면 투자자 보호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토큰증권의 이미지가 완전히 망가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 주최로 열린 '준비된 도전: 핀테크 혁신 더하기 토큰증권 플러스' 토론회에서 황태영 삼정 KPMG 파트너는 진흥과 규제의 균형을 강조했다. 이날 황태영 파트너는 "토큰증권은 선순환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회사에서 자본을 획득하기 위해선 기업공개(IPO), 은행 대출 등의 방법이 있는데, 토큰증권은 다른 방식으로 자본을 획득할 수 있다"며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다. 산업 전반으로 보면 자본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줄 수 있다"고 전했다. 

또 황 파트너는 "기존에 B2B로만 거래됐던 안정적이고 이율이 높은 채권을 쪼개서 일반 투자자도 살 수 있게 된다"며 "더불어 투자를 유치하는 입장에서도 거래 상대를 비즈니스가 아니라 리테일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토큰증권은 증권에 포함돼 증권 규제를 받는다. 핀테크 업체에겐 부담일 수 밖에 없다"며 "증권법은 사실 큰 기관들에게 적용되는 것이다. 큰 기관들에게 맞는 규제"라고 말했다. 

아울러 황 파트너는 "결국 토큰증권은 밸런스 게임같다. 규제가 너무 강하게 되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생겨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다만 투자자 보호도 굉장히 중요한 측면이다. 테라 루나 사태로 보았듯, 투자자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회적 문제가 생긴다면, 토큰증권에 대한 이미지가 완전히 바뀔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황 파트너는 "사업자들은 고객 보호 측면에서 다시 한번 보셔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고 감독 당국이나 입법기관 쪽에서는 어떻게 하면 토큰증권을 긍정적으로 가져가고 사이드 이펙트를 줄여나갈 수 있을지 고민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