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5G 백본에 400Gbps급 유선망을 상용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현재 백본에 쓰이는 대용량 유선망은 100Gbps단위로 트래픽을 전송한다. SKT가 도입하는 초 대용량 유선망은 400Gbps 단위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다.
SKT는 AI, 클라우드, 메타버스 등 대용량의 통신 데이터 트래픽이 요구되는 서비스 증가 및 추후 진행될 5G 고도화와 6G 상용화에 따른 통신망 증설을 대비해 이번 400Gbps급 유선망 도입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400Gbps급 유선망 도입을 통해 백본을 연결하는 유선망의 수를 줄여, 네트워크 관리 효율을 증대시키고 고장 및 장애 발생에도 더 기민하게 대처 가능한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SKT는 이번 신기술 도입으로 백본 연결을 위한 소비 에너지 절감은 물론 장비 설치 공간 절감, 선로 공사 축소로 인한 탄소 발생 절감 등 ESG 측면의 성과를 예상하고 있다.
SKT는 성수-보라매 백본 구간에 신기술 적용을 완료했다. 이후 테스트 및 모니터링을 통해 전국 백본 구간에 400Gbps급 유선망을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또 SKT는 백본망 대용량 진화에 따라 중요해진 선로, 장비 등의 유선 네트워크 성능관리를 위해 AI기반의 통합 점검 및 감시 자동화 체계 고도화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이종훈 SKT 인프라 엔지니어링 담당은 "초 대용량 백본망을 도입함으로써 5G 상용화 이후 늘어난 트래픽과 추후 5G 고도화 및 6G 상용화에 따른 대용량 트래픽 발생까지 대비할 수 있게 됐다"며 "SKT는 지속적인 네트워크 고도화를 통해 최상급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아이폰 15' 최대 반전은 가격 동결?…신기술 보다 '탄소중립' 눈에 띄네(종합)
- SK텔레콤, 양자 사피엔스 인재 양성센터와 '양자 생태계' 맞손
- LG유플러스, 6G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 최적화 연구 성공
- LG전자, 6G THz 대역 '세계 최장거리' 500m 무선데이터 송수신 성공
- 애플 '아이폰 15' 10월 13일 한국 상륙…엇갈린 평가 속 MZ세대 반응은?
- LG유플러스, '6G 백서' 발간…"차세대 네트워크 생태계 이끌 것"
- KT, 구내망 품질 진단 솔루션 'DX 케어' 개발
- SKT '민간 데이터댐' 그랜데이터, 금융∙방송 분야로 확대
- SKT, 은행연합회 손잡고 금융사기 예방 나선다
- KT, LG전자·코닝과 6G 주파수 대역별 RIS 성능 공동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