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은 지난 10일(현지시간) 블로그를 통해 구글 개인 계정에 '패스키(passkeys)'를 기본 옵션으로 설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용자는 구글에 로그인할 때 패스키를 생성 및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패스키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얼굴과 지문 인식, 화면 잠금 개인 식별번호(PIN) 등을 이용해 로그인하는 기능입니다. 구글은 "패스키를 이용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보다 40% 더 빠르게 로그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구글은 "패스키는 이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일일이 기억할 필요가 없는 안전하고 빠른 대안"이라고 말했습니다. 패스키는 서버가 아닌 PC나 모바일 기기에 저장되고, 생체 정보 입력 등이 요구되기 때문에 해킹과 기기 분실에 대한 우려가 비밀번호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구글은 "이용자들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아 패스키를 기본 옵션으로 설정했다"고 전했습니다. 구글이 패스키 기술을 처음 출시한 것은 지난 5월입니다. 당시 구글은 패스키를 "비밀번호 종말의 시작"이라며 "가장 쉽고 안전한 로그인 방법이자 '비밀번호 없는 미래'를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평가했습니다.
또한 구글은 이날 "다른 온라인 계정에서 패스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계속 업데이트하겠다"며 "업계가 패스키 도입을 지속적으로 독려하면서 비밀번호는 결국 쓸모없게 될 것"이라고 봤습니다. 다만 비밀번호 입력이 당장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비밀번호 사용을 더 선호하는 이용자는 패스키 사용 옵션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한편 패스키는 구글 외 다른 기업들도 서둘러 도입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닌텐도가 이용자 계정에 패스키 기능을 추가했으며, 엑스(X·옛 트위터)와 링크드인도 패스키 도입을 적극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집니다.
애플은 지난해 9월 운영체제 iOS에 패스키 지원 기능을 출시했습니다. 애플은 "패스키는 생체인증 국제 표준 파이도(FIDO) 얼라이언스와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에 기초해 비밀번호를 대체할 것"으로 말한 바 있습니다.
과연 모든 사람이 비밀번호 입력 없이 패스키만을 사용하는 미래가 찾아올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