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유상증자를 추진 중인 LG디스플레이가 OLED 확대 전략을 통해 기업가치 반등에 나서 주목된다.
8일 증권가에 따르면 이날 LG디스플레이는 1조3000억원 규모로 추진한 유상증자에서 적잖은 성과를 거뒀다. 주주배정 공모에서 '완판'되며 LG디스플레이를 향한 시장의 수요를 확인한 것. 우리사주조합은 2843만6860주를, 구주주는 1억475만5100주를 각각 청약했다. 실권주와 단수주는 4만9757주이며, 일반 공모 청약은 오는 11∼12일 진행될 예정이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오는 26일이다.
LG디스플레이가 유상증자로 조달할 자금 규모는 총 1조2924억원이다. LG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선제적으로 재원을 확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 전 영역에서 경쟁력과 미래 성장 기반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무엇보다 LG디스플레이는 OLED 투자 확대에 관련 자금을 쏟겠다는 각오다. 시설자금과 운영자금 모두 OLED 사업에 활용된다. 실제 LG디스플레이의 올해 추정 매출 중 약 60%가 OLED 매출이 될 것으로 보인다. TV 시장이 침체된 가운데, 프리미엄 TV 시장은 OLED TV를 중심으로 소폭 반등하며 W-OLED 패널 출하량이 늘어날 전망이며, 애플발 수주 또한 늘어날 전망이다. 해외 전략 고객사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긍정적 요인이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에서 OLED 패널을 장착한 세트기기를 출시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침투율은 2%도 안되는 수준이다. 애플 맥북은 오는 2026년에 OLED 패널 채택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8.6세대 OLED Fab은 2026년부터 본격적인 양산을 거쳐 납품될 전망이다.
여기에 중국 경쟁사가 지난해까지 패널 공급에 차질을 빚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LG디스플레이의 OLED 기술 선도 분위기는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아울러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꼽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올해 LG디스플레이의 핵심 먹거리로 꼽힌다. LG디스플레이는 글로벌 차량용 OLED 시장에서 선두 사업자로 발광층을 두번 쌓는 방식으로 기술 헤게모니를 유지하고 있다.
김종배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2023년 삼성전자 VD사업부가 LG디스플레이로부터 구입한 패널은 약 9만대 수준으로 추정되고, 올해 세트 출하량과 더불어 패널 조달을 약 50~100만대 수준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관련기사
- LG디스플레이, 지난해 4분기 영업익 1317억…7개 분기만에 흑자전환(1보)
- LG디스플레이, 유상증자 1차 발행가액 1만70원으로 결정
- 적자 늪에서 탈출한 LG디스플레이...분기 흑자로 웃었다(상보)
- [테크M 리포트] 분기 흑자 이뤄낸 LG디스플레이, 증권가 전망은 "상저하고"
- LG, 설 앞두고 협력사 납품대금 1조2500억원 조기 지급
- 삼성에 주도권 넘겨준 LG디스플레이...증권가 "주가 상승 여력 제한"
- LG디스플레이 OLED 패널, 혁신적 화질에 '친환경'을 더하다
- [테크M 리포트] 다시 뛰는 LG디스플레이, OLED로 리레이팅 기대감 'UP'
- LG디스플레이, 또 다시 적자전환…1분기 영업손실 4694억
- [테크M 리포트] 보릿고개 넘는 LG디스플레이...하반기도 쉽지 않은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