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 /사진=LG전자 제공

LG전자가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경신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5일 LG전자는 2024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1조959억원, 영업이익 1조3329억원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3% 늘었고 영업이익은 11% 감소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전자의 1분기 컨센서스(시장 평균 전망치)는 매출액 21조 2507억원, 영업이익 1조2873억원이다. 이날 발표된 잠정실적은 매출은 시장 기대치에 못 미쳤으나, 영업이익은 전망치를 웃돌았다.

매출액은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LG전자는 구독 등 새로운 사업 방식을 도입하고, 성장기회가 큰 기업간거래(B2B) 사업을 확대하며 시장 수요회복 지연 등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다. 또 AI, 에너지 효율, 디자인 등을 차별화한 프리미엄 제품의 공고한 경쟁력과 볼륨존 라인업을 강화한 제품 믹스 개선을 통해 실적을 끌어올렸다.

영업이익 감소는 시장 경쟁 심화로 인한 마케팅 비용 증가와 물류 비용 상승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LG전자는 콘텐츠 및 서비스 사업과 소비자직접판매(D2C) 등을 강화하며 수익성 방어에 나서고 있다. 또 자원 투입, 원자재 및 물류비용 안정화, 글로벌 생산지 운영체계의 유연성 확보 노력을 통해 수익 안정화를 추구한다는 계획이다.

/사진=LG전자 제공
/사진=LG전자 제공

캐시카우에 해당하는 생활가전 사업은 1분기 출시한 의류관리기 '올 뉴 스타일러', 올인원 세탁건조기 '워시콤보' 등 프리미엄 신제품이 시장 호응을 얻으며 성장을 견인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B2B에 해당하는 냉난방공조(HVAC), 빌트인, 부품솔루션 등의 확대도 꾸준히 이어지는 추세다. 향후 구독 사업 확대와 AI 가전 강화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전장 사업은 그간 확보해 온 수주잔고가 점진적 매출성장으로 이어지는 추세다. 수주잔고는 지난해 말 90조원대 중반에서 올 상반기 1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매출 비중이 가장 큰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사업은 올해 차별화 제품을 확대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역량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다. 

지난해 흑자 전환에 성공한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은 유럽, 아시아 시장 수주 확대를 통해 성장을 본격 가속화하고, 차량용 램프 자회사 ZKW는 차세대 제품역량 확보와 사업구조 효율화를 병행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TV 사업은 1분기 AI 성능을 대폭 강화한 2024년형 신제품 출시에 이어 webOS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성장이 지속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전자는 올해부터 글로벌 1위 올레드 TV와 프리미엄 LCD인 QNED TV를 앞세운 듀얼트랙 전략을 본격 전개한다. 아울러 webOS 플랫폼 사업을 올해 조 단위 매출 규모로 육성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비즈니스솔루션 사업은 온디바이스 AI를 구현한 'LG 그램' 신제품과 게이밍모니터 등 전략 제품을 내놓으며 시장을 공략 중이다. 특히 올해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사업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로봇, 전기차 충전 등 미래성장을 위한 투자를 지속하며 유망 신사업 조기 전력화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