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함께 지역상권의 디지털 전환 지원에 나선다.
카카오는 소상공인들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지역상권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카카오임팩트,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소진공)과 함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단골거리'는 소상공인들이 좀 더 편리하게 고객을 만날 수 있도록 카카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활용법을 교육하고 지원해주는 사업으로, 지역상권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 22년부터 전통시장 상인들의 디지털 소통을 지원해온 단골시장 사업이 호응을 얻어 지역상권 상점가까지 사업을 확대하게 됐다.
단골거리는 오는 4월 22일부터 광주광역시 충장로 상권가, 경북 안동시 원도심 상권 등 전국 8개 주요 지역 상권에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다. 카카오 직원과 전문 튜터가 직접 방문해 지역상권 상점가에서 카카오톡 채널, 카카오톡 예약하기, 카카오맵 매장관리, 톡스토어 등 카카오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1:1 맞춤 교육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상인들이 고객과 온라인 접점을 늘리고 활발하게 소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 외에도 상인들의 디지털 전환 노력을 응원하기 위해 카카오톡 채널을 개설한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채널 메시지 발송 지원금(30만원)을 제공하고, ▲오프라인 매장용 홍보 키트 제공, ▲상점가 방문자 대상 오프라인 홍보 이벤트를 지원한다. 카카오페이 신규가맹시 카카오페이머니 수수료 최초 3개월 무료 제공 등의 혜택도 제공한다.
지난 2022년부터 전통시장의 디지털 소통을 지원해 온 단골시장 사업도 더욱 강화해나간다. 언제든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상시 신청 프로세스를 추가해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고, 특정 시장을 집중 지원하여 디지털 전환 우수사례를 발굴하는 '공모사업'을 신설한다.
또 기존에 지원받은 전통시장이 지속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유지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을 이어나갈 방침이다. 공모사업은 5월부터 오픈할 예정이며, 사업 공고문 등 전반적인 내용은 단골시장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권대열 카카오 CA협의체 ESG 위원장은 "더 많은 소상공인들께서 편하게 쓰실 수 있게 하기 위해 사업을 확대 진행하게 됐다"며 "디지털 전환을 통해 고객들을 늘려나가실 수 있도록 소진공과 함께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카카오는 단골시장 사업을 통해 지난 2년간 전국 111개 전통시장의 상인회와 1472명의 상인에게 디지털 교육을 제공하고, 1583개 카카오톡 채널 구축을 지원, 24만명 이상의 고객을 친구로 확보하는 등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해 대통령표창을 받은 바 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카카오, AI 얼라이언스 합류…IBM·메타·인텔 어깨 나란히
- 카카오, 모바일 '다음'에 콘텐츠 큐레이션 공간 '틈' 오픈
- 오프라인으로 뻗어 나가는 카카오페이, 전국 300만 삼성페이 결제처 품는다
- 카카오, OECD에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위한 AI 기술 및 상생 사업 소개
- 디지털 접근성에 진심인 카카오맵, '무장애나눔길' 지도 신규 제공
- 카카오,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돕는다...'톡채널 지원' 프로그램 시작
- 카카오톡 예약하기, 2024 대한민국 숙박세일 페스타 참여
- ESG에 진심인 카카오, 2030 청년 대상 'ESG 아카데미' 진행
- 기술로 세상 바꾸자...카카오임팩트, 카이스트서 테크포임팩트 캠퍼스 개강
- 소상공인과 가까워지는 카카오...전국 7개 상권서 '단골거리 2차 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