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유럽연합(EU) 규제당국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에 130억달러(약 17조8620억원)를 투자한 것과 관련해 정식 조사에 착수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로써 MS는 반독점과 관련된 규제에서 한숨을 돌리게 됐습니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럽집행위원회 경쟁총국은 MS가 오픈AI에 지분 투자를 한 것과 관련해 정식 조사에 나서지 않을 계획입니다. EU 경쟁총국은 양사의 파트너십이 인수(M&A)에 해당하지 않고 MS가 오픈AI의 경영을 통제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MS는 지난 2019년부터 오픈AI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지난해 100억달러를 투자하는 등 총 130억달러를 투자했습니다. MS는 오픈AI의 지분 49%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EU 경쟁총국은 지난해 12월 MS와 오픈AI 간 파트너십에 대해 면밀히 주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지난 1월에는 파트너십을 EU 기업결합 규정에 근거해 재검토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며 조사 착수 가능성을 내비쳤습니다. 

MS가 EU의 규제 대상에서 벗어난 데는 MS가 막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오픈AI 이사회 자리를 차지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주효하게 작용했습니다. 오픈AI는 비영리재단 '오픈AI'가 영리회사 '오픈AI 글로벌'을 지배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비영리재단이 오픈AI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MS는 49%의 지분에도 지배권에 제한이 있는 구조입니다. 

MS는 EU 외 영국과 미국 등 지역에서도 비공식적인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MS와 오픈AI의 파트너십이 영국 기업과 경쟁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미국 법무부 반독점국과 연방거래위원회(FTC)도 조사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EU 경쟁총국은 MS가 AI 모델을 개발하는 프랑스 스타트업 미스트랄 AI에 대한 투자를 한 것과 관련해서도 조사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MS가 유럽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규제당국의 조사 속에서 어떤 행보를 보일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