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사진=디디다 컴퍼니 제공

중국 저가 쇼쇼핑플랫폼 테무와 쉬인의 대량 수출로 급등한 항공화물 운임이 향후 지속적으로 치솟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연말 성수기를 대비해 재고를 쌓아두려는 소매 업체들의 움직임이 보이는데, 항공화물 공간이 부족해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게다가 하반기 중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도 초저가 시장진출을 예고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들은 지난 1일(현지시간) 해상운송 정보업체 제네타를 인용해 지난달 말 기준 중국-미국 간 평균 현물 운송 가격이 1kg당 5.27달러로 지난 2019년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랐다고 보도했습니다. 국제항공운송협회는 올해 첫 4개월 간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는 전년도 대비 12.7%가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전문가들은 항공화물 운임이 급증한 것은 급속하게 성장한 테무와 쉬인이 고객 상품을 항공화물로 배송한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초저가를 경쟁력으로 시장에 진출한 중국업체는 고물가 시대 미국 등 주요국가를 포함한 전 세계인의 관심을 받으며 단기간에 시장점유율을 높이는데 성공했습니다.

화물 특송 다국적기업 DHL글로벌포워딩의 최고경영자(CEO) 팀 샤와스는 "일부 아시아 출발 노선에서는 화물 공간의 30% 이상을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가 차지할 정도"라고 말했습니다.

항공화물은 해상화물 대비 높은 비용으로 형성돼 노트북, 스마트폰 등 고가 품목과 생선, 꽃 등 부패하기 쉬운 품목이 주를 이뤄왔습니다. 하지만 테무와 쉬인은 의류, 가정용품 등을 저렴한 가격에 해외로 나르기 위해 항공화물도 이용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부터 시작된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상업선 공격으로 수출 업체들이 항공화물을 선택하게 된 점도 운임 상승 요인입니다. 항공화물 산업 분석업체 월드 ACD가 지난달 13일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주요 시장의 선박 용량으로 혼란이 심화돼 화물 소유자가 항공사로 몰렸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높은 항공화물 운임에도 운송 공간 선점을 위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아마존이 올 가을부터 초저가 섹션을 선보인다고 밝혔습니다. WSJ은 아마존의 진출로 항공화물 운임이 치솟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아마존의 초저가 섹션 출시 이후 미국과 중국간 화물 운임 운송공간 수용량이 개선될 수 있을 지 향후 화물 운임 시장의 움직임이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