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지난해 말부터 스마트팩토리 사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하면서 산업 생태계에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그 전초기지는 평택 생산기술원에 마련된 스마트팩토리 확산센터(SFAC)다.
18일 방문한 스마트팩토리 확산센터에서는 ▲생산시스템 설계/운영 ▲설비/공정 관리 ▲검사/품질 ▲가상제품 개발 ▲환경/에너지 ▲로봇 자동화 등 실제 현장에 적용된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한눈에 보고 체험할 수 있었다.
"삐-", 안전모 착용 안하면 빨간불에 알람까지
확산센터는 A전시존과 B전시존으로 구성됐다. A전시존에서는 비전문가도 최신 AI 알고리즘을 쉽고 빠르게 학습하고 배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 솔루션을 만나볼 수 있다. 다양한 센서와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생성형 AI 적용 솔루션은 진동과 소음 등을 데이터화해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사전에 조처하도록 돕는다.
가령 카메라에 비춰진 작업자가 안전모와 안전 베스트를 입고 있지 않으면 알람음과 함께 빨간색 경광등이 켜지고, 입게 되면 초록색 경광등이 켜진다. 또 컨베이어벨트에서 비정상 제품이 있거나 손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컨베이어벨트가 작동을 멈춘다.
또 하나의 AI 기반 솔루션인 '프리즘(PRISM)'은 생산공장 설계, 검증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다. '디지털트윈'을 활용해 기존 공장의 생산성 개선, 증설, 새로운 공장 설계를 돕는다. 디지털트윈은 실제 공장을 가상으로 옮겨놓는 기술로, 손쉬운 '드래그앤드롭' 기능을 활용해 가장 효율적인 공장 운영 방식을 찾을 수 있다.
자재 조달부터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관리 ERP 솔루션 '프라임(PRIME)'도 LG전자 스마트팩토리의 대표적인 기술이다. 프라임은 자재, 장비 현황 등을 파악하고 고객 수요를 적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생산 계획을 최적화하는 ERP 솔루션이다. 이 솔루션을 활용하면 고객 주문별 납기를 예상하고 제품 자재의 중장기 공급 계획 관리, 실시간 설비 스케줄링, 자재 소요량 점검 등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스마트팩토리 데모라인에서는 LG전자가 추구하는 자동화 생산 현장을 소개한다. 사람이 하기 힘든 복잡하고 세밀한 작업을 로봇이 대신 수행하는 것을 시범으로 보여준다. 세탁기의 경우 스크류를 올바른 홀에 조립하는 작업이 어려운데 스마트팩토리의 자동화 로봇은 이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사람 4명이 하던 일을 로봇 1대가 할 수 있다는게 LG전자 관계자 설명이다.
AMR로봇, 좁은 곳도 쉽 빠르게
B전시존은 로보틱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로봇 솔루션으로 꾸며졌다. 이들 제품은 LG전자 생산기술원의 로봇자동화 표준 플랫폼인 플렉스RPS(FLEX RPS)가 적용된 점이 특징이다. 해당 플랫폼은 AI기술이 적용돼 적재적소에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 경로는 사용자 편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플렉스RPS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동하게 했는데 공장들의 투자비용을 절감하기 위함이라는 게 LG전자 설명이다.
자율주행으로 물류, 배송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AMR도 전시돼있다. AMR은 카메라와 레이더, 라이더(LiDar) 등 다양한 센서가 탑재되어 주변 환경을 인식하며 자율주행으로 이동,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해당 로봇은 좁은 공간을 지날 수 있는 험로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제품이 크고 위험한데다가 조금의 손상도 손실로 이어지는 이차전지 공장에서 잘 활용될 수 있다.
기존에는 AGV라고 QR이나 마그넷 가이드로 구동하는 솔루션을 사용했다. 하지만 AGV는 경로를 바꿀 때마다 다시 수정해야 했어서 재사용성에 부합하지 못했다. 따라서 LG전자는 AMR로 전환, 스마트팩토리의 핵심 역량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저상형 AMR은 낮은 공간에도 들어가서 물건을 옮길 수 있다. 저상형 AMR의 경우 자기 충전소가 있어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충전 명령이 오면 스스로 배터리 충전 스테이션으로 가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LG전자는 초저상형 AMR도 개발 중이다.
AMR을 활용한 또 다른 로봇도 있었다. LG전자 생산기술원의 AMR은 고객 수요에 맞춰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