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상 달의 지하 동굴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학계내에서 거론됐는데, 이번 연구결과에서 이 사실이 입증됐습니다.
이탈리아 트렌토대학교 로렌조 브루조네 교수는 지난 16일 과학저널 '네이처천문학(Nature Astronomy)'을 통해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브루조네 교수는 "달 표면 레이더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요의 바다'(Mare Tranquillitatis)에 있는 반경 100m 구덩이가 길이 30~80m의 동굴로 이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는 2010년 미 항공우주국(NASA)의 '달 정찰궤도선(LRO)'에 탑재된 소형 레이더(Mini-Rf)가 관측해 달 표면의 구덩이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고요의 바다는 1969년 아폴로11호의 우주비행사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발견한 곳입니다. 지구와 같이 물이 있는 바다는 아니지만 망원경으로 관측했을 때 보이는 현무암 지대가 고요한 바다와 같아서 붙인 이름입니다.
지하 동굴의 위치는 아폴로 11호가 착륙한 지점에서 400km 떨어진 곳입니다. 동굴 내부의 지반은 평평하거나 약 45도까지 기울어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지난 50년동안 천문학자들 사이에서는 달의 지하 동굴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이론이 거론됐습니다. 고요의 바다는 화산에서 분출한 용암이 식으며 만들어진 평원입니다. 이 이론의 핵심 근거는 용암이 땅속으로 흘러 지하 암석을 지나며 여러 용암동굴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구덩이가 지하 공간에 존재하는 동굴과 연결돼 있는지 밝히지 못했습니다.
브루조네 교수는 "50년 동안 이론적으로 가능성만 거론되던 달 지하 동굴의 존재를 마침내 직접적 증거로 증명할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이번 연구는 달 지질학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번에 발견된 지하 동굴은 달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연구팀이 발견한 지하동굴이 미래 천문학과 인류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