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금융위원회,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추석 연휴를 앞두고 다양한 사이버 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 최소화를 위한 주의를 8일 당부했다.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금전적 이익 또는 개인정보 등의 탈취를 목적으로 하는 문자 발송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민들이 속기 쉽도록 공공기관, 지인 등을 사칭하는 문자 발송의 비중이 매우 높다. 문자 사기는 보이스피싱,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 쓰레기 무단투기 과태료 조회 등 공공기관 사칭, 명절 선물을 위한 쇼핑몰을 사칭해 대금을 갈취하는 방식이다.
관계 당국에서 탐지한 문자사기 현황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을 사칭하는 유형이 합계 116만여 건(71.0%)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 사칭형도 27만여 건(16.8%)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올해는 주식·가상자산 투자 유도, 상품권 지급 등 투자·상품권 사칭형이 2만여 건(1.3%)으로 전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정부는 이번 추석 명절 전후에도 범칙금, 과태료, 지인의 부고, 명절 선물 등을 사칭하여 명절 분위기에 들뜬 국민들이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을 악용하는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어서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이와 같은 문자 사기 외에도 정상문자처럼 속인 후 메신저앱으로 유도해 금전이나 상품권,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서 이에 대한 주의도 필요하다.
특히 유포된 미끼 문자를 통해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 앱이 스마트폰에 설치되면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화, 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다양화, 고도화되는 사이버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안 수칙을 생활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추석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관계부처들이 협력해 24시간 사이버 안전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스미싱 등 다양한 사이버사기에 대한 감시와 사이버 범죄 단속을 중점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또 과기정통부와 KISA는 추석 연휴기간 동안 문자사기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24시간 탐지체계를 운영하고, 스미싱확인서비스 등을 통해 신고·접수된 문자사기 정보를 분석하여 피싱 사이트, 악성 앱 유포지 등에 대한 긴급 차단조치를 지원하여 국민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력해 각 통신사 명의로 가입자에게 '스미싱 문자 주의 안내' 문자 메시지를 순차 발송한다.
명절 연휴 중 스미싱 등 사이버범죄 피해를 입은 경우, 경찰청에 신고하거나 '경찰청 사이버범죄 신고시스템(ECRM)'을 통해 온라인으로 피해신고를 접수할 수 있다. 또 문자사기 의심 문자를 수신하였거나,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보이스피싱지킴이'에 신고하거나, 국번없이 118 상담센터(KISA운영)에 연락하면 24시간 무료로 상담 받을 수 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관련기사
- "스팸 메시지로부터 고객 지킨다"…SKT, '패스 스팸 필터링' 서비스 도입
- "공모주 사칭 피싱 급증"...안랩, 2분기 피싱 문자 트렌드 발표
- 과기정통부, '티메프 환불 사태' 악용한 스미싱 주의 당부
- 상반기 통신분쟁조정 31% 늘었다...방통위 "휴대폰 사기개통·부당계약 주의"
- "고객이 작성한 일기에 AI가 답장"...LG유플러스 '답다' 가입자 2배 늘었다
- 신인 배우 캐스팅해 사실주의 구현...스튜디오 X+U, 드라마 '프래자일' 공개
- KT "추석 연휴에는 지니TV에서 '정주행' 하세요"
- SKT·SPC그룹 AI 동맹 강화...전방위 협력으로 고객 경험 혁신 나선다
- "추석 연휴 통신 서비스 걱정없어요"...통신3사, 이동통신 품질 점검 완료
- "올바른 AI 사용 위한 공감대 만들다"...SKT, AI 철학 담은 디지털 캠페인 전개
- [같이사소] "아직 늦지 않았어!"...'쿠팡' '컬리'에서는 가성비 좋은 추석 선물 준비 가능해요
- G20 연구혁신 장관회의 나서는 과기정통부...전세계 과학기술 연대 동참
- "피싱·스팸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만들자"...KISA, 디지털 민생범죄 대응체계 마련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