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SKT 제공
/ 사진=SKT 제공

SK텔레콤이 인공지능(AI)과 통신의 융합을 통한 차세대 통신 인프라의 진화 방향을 제시하는 'SK텔레콤 6G 백서: View on Future AI Telco Infrastructure'를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지난해 국내 통신사 최초로 발간한 6G 백서 일환으로 미래 네트워크에 대한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SKT는 첫 번째 발간한 6G 백서에서 6세대 이동통신 표준화에 필요한 핵심 요구사항과 기술 동향, 예상 주파수 등에 대한 분석 등을 소개한 바 있다.

SKT는 이번 백서로 향후 본격화될 AI시대 통신 인프라 방향성과 함께 미래 선보일 6G 이동통신의 모습을 전망했다.

우선 6G 구조 진화의 핵심을 '클라우드·AI·그린 네이티브'로 정의했다. 이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6G 프레임워크' 권고안에서 강조한 유비쿼터스 인텔리전스 기반의 6G AI 인프라 진화 방향성을 제시했다.

또 6G 시대에는 데이터 트래픽 수요와 특화 서비스를 고려해 이전 세대 이동통신을 적절히 혼용하는 '세대 혼합' 기반 유연한 네트워크 구조를 갖출 것으로 예상했다.

SKT는 통신 인프라와 AI의 결합을 통해 실시간 데이터 처리·AI 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텔코 에지 AI 인프라' 개념이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6G 시대에는 통신 사업이 단순히 트래픽 수요에 따라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가 아닌 인프라 자체의 가치를 높이는 방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이번 백서를 통해 텔코 에지 AI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인프라 진화 방향성을 제시하고 관련 생태계 확산을 모색할 것"이라며 "통신과 AI의 융합을 통해 인프라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6G AI 유무선 인프라로의 진화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