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별도의 앱으로 출시하는 신규 AI 서비스 '카나나'가 메신저 서비스 카카오톡과는 차별화된 서비스라고 강조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7일 진행된 2024년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카카오톡은 이용자간 커뮤니케이션이 목적인 반면 카나나는 AI 메이트로 대화형 플랫폼을 채택한 서비스"라며 "AI를 활용한 신규 서비스의 영역으로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지난달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카카오'를 통해 '가장 나다운 AI'라는 의미를 가진 카나나를 공개한 바 있다. 카카오톡과 차별화된 별도의 앱을 통해 사람과 AI의 연결을 더욱 강화하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는 전략이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
- [이프 카카오] 곳곳에 스며든 AI 기술...카카오의 새로운 미래 열었다(종합)
- [테크M 트렌드] AI'만' 좋은 시장...AI 사업 성적 따라 실적 온도차
- [테크M 이슈] 카카오 경영 쇄신 한숨 돌렸다...돌아온 브라이언 행보에 쏠린 눈
- [SK AI 서밋] 카나나 떠올린 정신아 카카오 대표 "가장 쉬운 AI, 나를 잘 이해해주는 것"
- 카나나 띄운 카카오 "내년부터 전국민 AI 서비스 순차 공개"
- 카카오 '카나나', 내년 1분기 일반이용자 대상 CBT 진행
- 총수 부재에도 'AI 청신호' 켠 카카오...핵심 서비스 '카나나', 내년 이용자 만난다(종합)
- '승승장구' 네이버·'숨고르기' 카카오...AI로 내년 성장 기반 다진다(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