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미드저니
/ 사진=미드저니

한국 정부가 중국발 '딥시크 쇼크'에 본격적인 대응에 나섰다. 딥시크가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의혹에 접속을 차단하며 빗장을 걸어잠근 것. 이에 국내 대기업들은 정부의 정책에 동참하며 딥시크 차단에 힘을 보태고 있지만, 딥시크 도입을 환영한 스타트업의 경우 자체 정책을 변경하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6일 IT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와 국정원 등 정부부처에선 중앙부처와 광역 지방자치단체 등에 생성형AI 사용과 관련한 보안 가이드라인을 전달했다. 여기에는 정보 유출 우려가 있는 시스템을 중심으로 딥시크 서비스 이용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일부 PC에서는 딥시크 접속 차단 조치를 내리며 정보 지키기에 나섰다. 

이같은 조치는 해외에서도 활발하다. 미국의 경우 보안을 이유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이탈리아에서는 자국 내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며 거리두기에 나섰다. 

정부의 조치에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딥시크 차단에 나서고 있다. 카카오는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 사용 금지를 알렸고, 통신사 중에선 LG유플러스가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으로 공지했다. 이외에도 삼성전자, 네이버 등은 사내에서 생성형 AI 사용을 제한하면서 외부 서버에 정보 유출이 우려되는 서비스는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AI 사내 활용 정책에 따라, 정보 보안과 윤리 등 AI 안전성에 대해 완전한 검증이 되지 않아 우려되는 지점이 있다고 판단했다"며 "이에 따라 사내 업무 목적으로 사용을 지양한다는 공지를 진행한 바 있다"고 말했다. 

사진=딥시크
사진=딥시크

반면 스타트업계에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딥시크의 등장은 스타트업 생태계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정부 정책에 따라 변화의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딥시크는 언어 모델 학습과 활용에 있어 기존과 다른 AI 훈련방식을 사용해 '베스트 프랙티스(특정 업계 내에서 뛰어난 기업들이 비즈니스를 하는 방식)'를 남겼다. 국내 스타트업의 경우 적은 비용으로 개발에 한계가 있어왔지만, 딥시크의 오픈 소스를 활용해 그동안 진행이 더딘 AI 개발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돼 왔다. 

딥시크를 활용해 AI 경쟁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생태계를 넓힐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졌지만 정부의 제한 조치로 인해 모처럼 생긴 기회가 물거품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딥시크가 선보인 저비용 고효율 AI모델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만큼 오픈소스 활용을 모색했지만, 이를 전면 재검토하는 스타트업도 등장했다. 

스타트업계 한 관계자는 "대기업이 글로벌 AI 기업과 손잡고 기술 고도화에 나서고 있는데, 스타트업에서는 인프라가 약하기 때문에 기술개발 측면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다"며 "이러한 현상이 반복된다면 스타트업은 기술개발에 있어 점점 도태되고 양극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사실 개인정보 위협은 딥시크 앱을 직접 다운로드 받아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딥시크가 공개한 오픈 소스 모델을 직접 활용할 경우 제어권은 사용하는 기관에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위협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다. 하지만 여러 기업들을 중심으로 딥시크에 대한 거리두기를 시행하며 상황을 예의주시 하는 모습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딥시크 앱이 시장에 강하게 침투하게 되면 개인정보 위협 우려가 있는 것은 맞다"며 "하지만 현재 딥시크는 모델 공급자에 가깝고, 개발자들이 개인정보에 대한 제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AI 서비스는 각각의 서비스 제어권에 따라 위험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조성준 기자 csj0306@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