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양자 시대 위협 대비 국가 암호체계 전환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27일 밝혔다.
양자내성암호란 현재 활용되는 공개키 알고리즘보다 복잡하여 양자컴퓨터로도 풀기 어려운 수학적 난제 기반의 암호를 말한다. 정부는 2035년까지 국내 암호체계를 양자컴퓨터의 빠른 연산 능력에도 안전한 양자내성암호로 전환하기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바 있다.
이러한 마스터플랜의 일환으로 정부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4개년 동안 의료, 국방, 금융 등 산업 분야별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에너지, 의료, 행정 3개 분야의 주요 정보시스템을 대상으로 양자내성암호 시범전환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3개 컨소시엄 모집에 총 9개 컨소시엄이 지원을 받았으며, 3월 중 평가를 통해 분야별 사업자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기관의 암호체계 전환 시 필요한 기술 확보, 성능 검증 등을 통해 양자내성암호 전환사례를 발굴, 전환에 필요한 절차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양자컴퓨터의 기술 발전으로 기존 암호체계의 보안성이 위협받는 가운데, 양자내성암호로의 전환은 AI시대 안전한 보안체계를 제공하는 주춧돌이 될 것"이라며 "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기에 대비하여 이번 시범전환 사업을 통해 언제든 양자컴퓨터 보안 위협에 대응할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