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규곤 파수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FDI 2025 심포지움'에 참석해 '생성형 AI 혁명: AI가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경호 기자
조규곤 파수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FDI 2025 심포지움'에 참석해 '생성형 AI 혁명: AI가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경호 기자

파수가 AI 시대를 맞아 기업의 효율적인 LLM 활용 전략을 제시했다. 시스템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과도한 투자를 자제하고, 목적에 부합하는 스몰 LLM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조규곤 파수 대표는 2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FDI 2025 심포지움'을 열고 "챗GPT 출시 이후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을 받아들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FDI는 기업과 기관의 CIO, CISO, 보안 및 IT 담당자 등 주요 고객과 함께하는 파수의 최대 규모 연례 콘퍼런스다. 올해는 기업용 AI 구축과 활용, 데이터 관리, 개인정보보호 등 주요 IT·보안 화두를 다뤘다.

조규곤 대표는 이날 첫번째 연사로 무대에 올라 '생성형 AI 혁명: AI가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주제로 강연했다. 그는 "챗GPT가 출시된지 2년 5개월이 흐르면서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며 "생성형 AI가 100가지 이상의 유즈케이스를 해내는 시대에 살며 우리가 생성형 AI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지 생각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조 대표는 생성형 AI가 사회 전반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현상을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으로 규정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AI가 커뮤니케이션을 사람과 똑같이 하고, 문서도 이해하는 워크포스가 되는 시대"라고 부연했다.

조규곤 파수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FDI 2025 심포지움'에 참석해 '생성형 AI 혁명: AI가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경호 기자
조규곤 파수 대표가 2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페어몬트 앰배서더 서울에서 열린 'FDI 2025 심포지움'에 참석해 '생성형 AI 혁명: AI가 기업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가'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임경호 기자

AI 워크포스 수용을 위한 우리의 자세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조 대표는 생성형 AI를 '자신감이 넘치는 인턴'이라고 규정한 뒤 "모든 것에 대답하지만 그것이 다 맞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또 생성형 AI 모델의 출시 속도가 점차 빨라지며 비용 효율성은 높아지는 생성형 AI 트렌드를 소개하며 기업들이 향후 퍼블릭 LLM을 제한적으로 사용하면서 스몰 LLM을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쓰는 전략을 취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대표는 "스몰 LLM을 기업에 맞게 쓰기 위해 AI 인프라스트럭처를 갖출 필요가 있다"며 "보안, 프라이버시 문제 등에 있어 LLM의 행동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 인프라시스럭처에 대한 적당한 투자 ▲AI 시대에 맞는 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 구축 ▲AI 거버넌스 재검증 ▲신규 LLM 모델 사용 기반 마련 등의 투자 및 전략을 제언했다.

조규곤 대표는 "현재는 사람이 일을 하며 AI의 보조를 받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면서도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사회의 변화속도로 인해 향후 AI의 역할이 사람과 함께 일하는 단계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편 파수는 2000년 설립 이후 데이터 보안 영역에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DRM과 문서 가상화 기술을 활용한 기업용 문서관리 플랫폼, 빅데이터 개인정보 비식별화 솔루션, 정보보호 컨설팅, 인공지능 기반 노트 앱, 블록체인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