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오픈렛져 제공
/사진=오픈렛져 제공

AI 블록체인 오픈렛져는 4일 한국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500만달러(약 70억원) 규모의 보조금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달 초, 재단을 설립한 데 이어 한국을 포함 전세계에 AI 인프라 및 생태계 구축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또 전략적 파트너인 해시키 캐피탈도 프로그램에 참여, 새로운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전략적 가이던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계획이다.

이번 프로그램은 오픈렛져의 장기적인 비전에 기여하거나, 창의적이고 AI 생태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개발팀 및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개발팀 중 법률, 의료, 금융, K-콘텐츠 등 다양한 산업에 특화된 AI 모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팀을 공모한다. 참여를 원하는 팀들은 오픈렛져 고유 블록체인을 통해, 데이터 및 모델의 투명성을 확보하면서 개발을 진행해야 한다.

선정된 팀별로 최소 2만5000달러(약 3500만원)에서 최대 50만달러(약 7억원) 보조금을 받게 된다. 오픈렛져 모델 툴링과 글로벌 AI 전문가들의 멘토링,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데모 데이 기회 등이 함께 제공된다.

평가는 해당 팀의 ▲기술적 우수성 ▲AI 분야와의 적합성 ▲실질적인 사회적 영향력 ▲오픈렛져 인프라 활용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진행된다. 희망 팀은 오픈렛져 홈페이지를 통해 수시로 지원할 수 있으며, 6주 후가 1차 마감이다. 

지난해 설립된 오픈렛져는 AI 블록체인으로 데이터, 모델, 에이전트를 유동화해 참여자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를 담았다. AI 모델 및 데이터를 구축하거나 기여한 모든 유저에게 투명한 보상 시스템을 제공할 계획이다. 데이터넷과 탈중앙화된 인센티브를 기반으로 신뢰할 수 있고, 책임 소재가 명확하며, 사용자가 공동 소유하는 AI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다.

오픈렛져의 핵심 개념은 기여증명(PoA)이다. 지불형 AI를 구축해 AI 모델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와 기여도를 정확히 추적, 유저에게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나가고 있다. 사용된 데이터나 알고리즘이 특정 AI 모델의 성능 향상에 기여했다면, 기여한 유저에게 실질적인 경제적 보상이 돌아가도록 스마트 계약으로 자동 보상을 제공한다. 이 와중에 데이터, 코드, 지식 기여의 출처를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기록해 투명성과 신뢰 또한 높아지게 된다.

오픈렛져의 핵심 기여자인 램(Ram)은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앞선 AI 개발자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다"며 "이번 프로그램은 한국 개발자들이 AI를 위한 블록체인 위에서 법률, 의료, 금융, K-컬처 등 각 분야의 전문 AI 모델을 탐색하고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기회"라고 말했다.

샤오샤오 해시키 캐피탈 파트너는 "오픈렛져의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AI와 블록체인의 경계선상에서 의미 있는 프로젝트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기회에 유망한 프로젝트를 적극 발굴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준 기자 joon@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