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유료 기업 고객 수가 300만곳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난 2월 발표한 200만곳 대비 50% 증가한 수치로, 불과 4개월 만에 기록된 성과입니다.
오픈AI는 지난 4일(현지시간) 챗GPT 엔터프라이즈 및 팀 요금제, 교육기관 전용 제품인 에듀 고객을 합친 누적 유료 기업 고객 수가 300만을 넘어섰다고 밝혔습니다. 회사 측은 매주 약 9개 기업이 신규로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서비스 기술 진화도 함께 이뤄지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이날 챗GPT 업무용 제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습니다. 가장 주목받는 기능은 외부 클라우드 데이터를 챗GPT와 직접 연동하는 '커넥터스' 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구글 드라이브, 드롭박스, 마이크로소프트 원드라이브 등에 저장된 파일을 챗GPT에 불러와 활용할 수 있습니다.
회의 내용을 자동으로 녹음하고 이를 텍스트로 변환해주는 '레코드 모드'도 도입됐습니다. 오픈AI는 이 기능이 내부 문서와의 통합 작업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오픈AI 관계자는 "챗GPT가 현대 업무 환경에서 핵심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며 "오늘은 비즈니스용 챗GPT에 중요한 이정표가 된 날"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지난 3월 기준, 챗GPT는 주간 활성 사용자 수 5억 명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료 고객 증가에 따라 매출도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오픈AI는 지난해 37억달러 매출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는 지난해보다 3배 이상 많은 127억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내년 매출은 294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픈AI의 챗GPT 서비스 성장세가 가파른 가운데, 향후 오픈AI의 행보가 궁금합니다.
자료=미디어뱀부
정리=김현기 기자 khk@techm.kr
관련기사
- [FSL 통신] "어서와, FC온라인 4강은 처음이지?"...특급 신예들로 꽉 채웠다
- 다시 뛰는 엔씨소프트 '아이온2' 시장 기대감 쑥...흥행 가능성 높은 이유는
- [크립토 브리핑] '트럼프 vs 머스크' 갈등 고조에 비트코인-이더리움 '급락'
- [글로벌] 아마존, 美에 100억달러 투입...AI 데이터센터 건설 나선다
- [글로벌] 유럽과 밀착하는 중국...美 보잉 대신 EU 에어버스 도입 검토
- 글로벌 게임쇼 'SGF 2025' 수놓는 K게임...신작으로 북미 시장 '정조준'
- "여름 멋내기 아이템 어디서 살까"...국내 패션·뷰티 플랫폼 할인 혜택 '풍성'
- 네이버, 실리콘밸리서 'AI 금맥' 캔다...'네이버 벤처스' 설립 전 네트워킹 행사 개최
- [메이플스토리 어셈블] 1분만에 매진된 입장권...다양한 이벤트로 현장 '후끈'
- NHN페이코, 신전떡볶이에 멤버십-오더 솔루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