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대통령실 AI 미래기획수석이 공공의 AI 전환(AX)을 촉구했다. 이재명 정부가 약속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마중물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하정우 수석은 25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8회 전자정부의 날' 기념행사에 참석해 이 같이 밝혔다. 행사는 행정안전부가 개최했다. 공공 부문의 AX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AI·디지털기술 서비스 특별 전시와 공공 AX 방향성을 논의하는 세미나 등이 진행됐다.
이날 하 수석은 현장에 참석해 축사를 통해 공공부문 AX 중요성을 언급했다. 그는 "현재 미국, 영국, 중국 등 AI 선도국들은 공공 AX를 통해 AI 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며 "공공 AX는 국가 AX의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한국의 공공 AX 또한 관련 산업 육성에 기여하고, AI에 기반하여 행정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꿀 뿐 아니라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한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AI 3대 강국' 도약은 이재명 대통령의 핵심 공략이다. 이를 위한 세부 방안으로 100조원 규모 투자와 국민 모두의 AI를 제안한 바 있다.
하 수석은 "인공지능 책임관(CAIO)을 중심으로 국민이 요청하기 전에 필요한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전면 개선하는 등 AI혁신정부 구현을 주도해 달라"고 당부했다. CAIO는 조직의 AI 업무를 총괄하는 자리다. AI 기술의 급격한 확산에 따라 최근 기업을 중심으로 CAIO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김민재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도 "정부 AI 대전환이 이뤄지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며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 정부 경험을 바탕으로 국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AI 정부를 구현하겠다"고 전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Npay 10년] 포인트 혜택부터 소상공인 상생까지...일상에 스며든 판테크 혁신 (상)
- [Npay 10년] '1등 생활 결제 서비스'로 진화한 네이버페이, 이젠 글로벌에서도 통한다 (하)
- 국내 스타트업 "기술 호환성 부족에 규제 과다로 글로벌 진출 어려워"
- [가봤다] "스마트폰 맡기면 1시간 내 수리"...샤오미 국내 1호 매장 가보니
- [NDC 25] 입력 도구 혁신으로 AI 게임 선도하는 렐루게임즈 "질문하는 역량이 중요"
- 평범한 이집트 청년, 크로스파이어 만나 e스포츠 전문가로 성장하다
- [기자수첩] "또 네이버 출신이라고?" 韓 혁신인재 '산실' 네이버는 억울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