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이동범 지니언스 대표가 국민 대표단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9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이동범 지니언스 대표가 국민 대표단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유튜브

보안업계가 인공지능(AI) 시대 사이버 위협 고도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기술 개발에 정부가 보다 전폭적인 지원에 나서주길 촉구했다.

9일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서 정보보호 업계를 대표해 '국민 대표단'으로 나선 이동범 지니언스 대표는 "정부가 국가적 연구개발(R&D) 투자와 민간과 공공기관이 함께 실증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글로벌 수준의 국제 표준화 연계 등 기술발전에 따른 정보보호 투자를 더 깊이 지원한다면 정보보호 기업들은 대한민국이 디지털 안심 국가의 심장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표는 "정보보안 기업들은 AI 보안, 양자내성암호, 제로트러스트 등 신기술 개발에 굉장히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미래 지향적인 기술 투자를 해야만 디지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기념식에서 산업계·학계·보안업계·일반시민으로 구성된 국민 대표단 4인은 ▲보안에 대한 자발적인 투자 생태계 조성(산업계) ▲정보보호 핵심 인재 양성(학계) ▲차세대 보안 R&D(보안업계) ▲생활 속 실천(일반시민) 등의 관점에서 정보보호에 대한 의지를 다짐했다.

이종명 대한상공회의소 본부장은 "산업 현장에서 정보보호 비용이라는 말은 사라지고 정보보호 투자라고 얘기하고 있다"며 "기업들은 최우선 경영전략 과제로 정보보호 투자에 힘쓰고 디지털 안심 국가 구현에도 큰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박영호 한국정보보호학회 회장은 "고도화된 사이버 위협과 빈번한 침해 사고 속에 AI 시대를 선도할 국가는 기술 뿐만 아니라 인재를 갖춘 나라"라며 "학계는 교육과 연구를 통해 인재를 배출하고 정부는 대대적인 기반 마련과 지원을, 기업은 현장 수요에 맞는 정보보안 인력을 적극 수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현수 성신여자대학교 학생은 "택배 문자 하나로 해킹을 당할 수 있고 공공 와이파이 접속 한 번으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다"며 "국민이 무방비한 상태로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지 않도록 국가가 앞장서 국민 생활에 밀접한 분야의 보안에 관한 정책, 예방 중심의 보안 교육, 신속한 사고 대응 및 피해 복구 시스템을 마련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남도영 기자 hyun@techm.kr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