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소버린 AI'가 없으면 우리가 빠르게 변해가는 글로벌 패권 경쟁 시대에 무기를 가져갈 수 없게 된다"며 그 필요성을 강조했다.
배경훈 후보자는 14일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정부가 목표로 하는 구체적인 '소버린 AI'의 정의와 목표에 대한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문에 이처럼 밝혔다.
배경훈 후보자는 "'소버린 AI'가 없으면 우리가 무조건 따라가고, 외산 솔루션만 가져다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자체적인 AI를 한국에서 누구나 잘 쓸 수 있는 환경을 신속하게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그는 "AI 주권 측면에서도 그렇고, 우리가 컨트롤하고 마음껏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우리만의 AI 기술이 필요하다"며 "올해나 (늦어도) 내년 안에는 만들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국형 '소버린 AI'의 성격에 대해서는 "AI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해야 한다"며 "핵심은 NPU를 넘어 GPU에 대한 투자가 들어가게 될 텐데, 반도체 관점에서 이를 어떻게 만들지 풀어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델 개발에 있어 기본적인 경쟁력 확보와 함께 우리가 만든 모델의 오픈소스화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며 "기업에서 많은 투자가 들어갔던 모델을 완전 무료로 오픈소스화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그런 측면에서 AI 바우처 활용도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경호 기자 lim@techm.kr
관련기사
- '좀비딸 vs 전독시' 네이버 원작 극장가 승부수...IP 생태계 선순환 기대감
- [테크M 트렌드] "이번엔 호주다"...CJ제일제당, '비비고'로 대형마트 '점령'
- 장현국 넥써쓰 대표, '게임코인TV' 출연...재판 소회·향후 계획 밝힌다
- 배경훈 장관 후보자 "AI 성과에 많은 투자 필요...정부 마중물 역할 있어야"
- 갤럭시Z 플립-폴드7, 일제히 '라방' 준비한 이커머스..."어디가 혜택이 좋을까"
- 배경훈 장관 후보자 "3년 내 '소버린 AI' 성과내야...'AI 기본법' 과태료는 유예 필요"
-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 "훼손된 R&D 체계 가장 먼저 복원할 것"
- 삼성전기 "AI 서버용 MLCC 점유율 40%…전장용 공략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