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넥써쓰 대표가 두바이, 홍콩, 일본, 중국 등을 거점으로 글로벌 웹3 게임 생태계 확장에 본격 나선다.
장현국 대표는 지난 15일 테크엠과 만나 "두바이에 조성 중인 '넥써쓰 허브'는 물리적인 집합 장소로 각 파트너들이 서로 원하는 것과 줄 수 있는 것이 맞아떨어지는 최적의 입지"라며 "부동산, 투자, 인재 등 다양한 자원이 집결돼 웹3 생태계의 중심 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중국의 우수한 개발자들이 해외 진출을 원하지만, 명분이 필요한 상황에서 두바이·아부다비가 줄 수 있는 것들이 우리에게 필요한 조건과 잘 맞는다"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과거 위믹스플레이센터가 두바이에 운영됐던 경험을 언급하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엔 보다 지속 가능한 구조로 넥써쓰 허브를 만들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에서는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정책 변화에 맞춘 사업 확대가 이뤄진다. 그는 "홍콩은 비은행권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가능한 가장 진보된 법안을 이미 통과시켰고, 오는 8월 1일 시행령이 발표될 예정"이라며 "이에 맞춰 '넥써쓰 스테이블' 법인을 설립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콩의 외환 중심지로서의 특성을 살려, 다양한 국가 통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일본을 중심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 공략도 본격화한다.
넥써쓰는 글로벌 게임사가 모이는 각국 게임쇼에 참가해 B2B 미팅을 이어갈 계획이다. 장 대표는 "9월 도쿄게임쇼에 참석할 예정이며, 이를 위해 일본 법인을 설립했고, 최근 한국어에 능통한 일본인 지사장도 선임했다"고 밝혔다.
넥써쓰는 한국을 컨트롤 타워로 두고, 중국은 개발자 소싱 및 투자 유치, 두바이는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홍콩은 스테이블코인 발행 거점으로 각각의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일본 법인은 이 같은 글로벌 전략의 일환으로, 본격적인 사업 전개를 위한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달 말에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리는 '차이나조이'에도 참가한다. 장 대표는 "중국의 유명 게임 개발자가 웹3 게임 스타트업을 창업하며 저희와 투자 조건을 합의했고, 현장에서 이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며 "중국 게임 업계와도 다시 좋은 관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국내에서는 오는 11월 지스타에도 참여한다. 장 대표는 "지스타는 한국 게임사들과 블록체인 게임 논의 및 협업을 이어갈 좋은 자리"라며 "'픽셀 히어로즈'나 '로스트 던전' 같은 프로젝트가 성과를 내면 더 많은 관심이 이어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대담=허준 편집장 joon@techm.kr
정리=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성장판 열린 디지털 헬스케어...카카오벤처스 "의료현장 진입 속도 높여라" 특명
- '위믹스 유통량 조작 의혹' 무죄 장현국..."파트너와 적극적으로 사업 진행할 것"(2보)
- SAP, 7월 한국에 BDC 출시..."데이터 활용이 AI 혁신의 관건"
- '위믹스 유통량 조작' 혐의 벗은 장현국...넥써쓰 블록체인 신사업 탄력 받나
- SKT, 위약금 면제 종료…대상자 100만명, 환급은 어떻게?
- 넥써쓰, '로한2' 9월 말 출시…"미르4·나이트크로우 토크노믹스 계승"
- [크립토 브리핑] 비트코인, 차익실현 매도에 고점서 5%↓...1억6300만원대 등락
- 美 가상자산 3법 하원서 제동...트럼프 코인 정책 속도 조절 가능성 ↑
- 비피엠지, 태국 중앙수사국과 AI기반 불법 콘텐츠 식별 시스템 제공 협약 체결
- 카카오 브런치스토리, 유료 구독 서비스 '브런치 작가 멤버십' 출시
- 우아한형제들, 배민B마트 '최저가 도전' 프로모션 진행...생활물가 부담 ↓
- '웹3 혁신가' 장현국 넥써쓰 대표 "블록체인 게임 대중화 확신…모든 게임 토큰 발행할 것"
- KT도 위성-케이블 가입자에 IPTV 방식 서비스 제공...SKB-LG유플러스는 이미 '시행 중'
- KT, 이동식 AI 체험관 'AI 스테이션' 운영...도서산간 지역 찾는다
- 편집숍 강화나선 무신사 "이번엔 강남이다"...잘파세대-외국인 관광객 '공략'
- [당근10주년(상)] "혹시...당근이세요?" 중고거래로 로컬 생태계 묶은 '우리동네 플랫폼'
- [당근10주년(하)] 10년 간 성장한 당근, 하이퍼 로컬 시장 노린다...글로벌 공략 가속화
- e스포츠 월드컵 LoL 종목 개막...MSI 열기 그대로 잇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