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넥써쓰 대표가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시스템을 통해 실질적인 결제 수수료 절감과 공공정책의 효율성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장현국 대표는 24일 자신의 X(옛 트위터)를 통해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이익률은 이미 극히 낮은 수준이며, '결제 수수료'는 그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기존 결제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를 지적했다. 이어 "기존 결제망은 너무 많은 중개자가 얽혀 있어 기술적으로 수수료를 낮추는 것이 불가능하고 경제적으로도 지속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이 이러한 문제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장현국 대표는 "복잡한 중개 과정을 없애고, 소비자가 스테이블코인을 온체인으로 직접 판매자에게 전달하도록 하면 수수료를 사실상 0%에 가깝게 만들 수 있다"며 "가스비조차도 스테이블코인 발행자가 감당할 수 있을 만큼 낮아 지속 가능한 구조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장 대표는 더 나아가 "소규모 상인을 위한 마이너스 수수료 구조도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하다"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추구하는 진정한 혁신"이라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공공 바우처 정책의 문제 해결책으로도 블록체인 기술을 제시했다. 그는 "소비 진작용 지역상품권 등의 부정 사용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며 "사전 승인된 가맹점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양도 불가능한 토큰을 발행하면 정책 누수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현국 대표는 "블록체인은 단순한 기술을 넘어 사회적 에너지와 정책적 논의를 보다 본질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수단"이라며 "넥써쓰는 이러한 기술 기반 사회 혁신을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넥써쓰는 지난 6월 BNB 체인에 'KRWx'를 등록하고 상표권도 출원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홍콩에 스테이블코인 발행 법인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핀테크 전문가 안중현 부사장을 총괄로 영입하며 스테이블코인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서미희 기자 sophia@techm.kr
관련기사
- 자본시장硏 "스테이블코인은 상품 아닌 시스템...달러 패권 맞서 제도화 시급"
- 네이버·카카오, 집중호우 피해 지역에 10억·15억원 기부
- 무신사, 中 잘파세대 마음 훔치다...오프라인 매장 거래액 3배 증가
- [넥슨 슈퍼바이브 1.0] ①얼리액세스는 잊어라...8개월만에 정식 서비스로 새출발
- [넥슨 슈퍼바이브 1.0] ②'대장간' 시스템으로 자유 빌드 구현...맵 개편·오공 추가까지
- [넥슨 슈퍼바이브 1.0] ③'재미' 강조하는 이정헌의 의지...장르 다각화에 진심인 넥슨
- 구글, 2분기 호실적...클라우드 매출 31% 급증에 "100억달러 추가 투자"
- SK하이닉스, 2분기 AI 타고 '깜짝실적'…HBM·낸드 양날개 '활짝'(상보)
- LG디스플레이, "2분기 '바닥' 3분기 '반등'…연간 흑자 가능"(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