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일로 NB-NTN 활용…4나노 SoC 탑재
스마트시계도 위성통신을 이용하는 길이 열렸다.
퀄컴은 ▲스냅드래곤 W5 2세대 ▲스냅드래곤 W5플러스 2세대 플랫폼을 선보였다고 21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웨어러블(착용형) 기기용이다. 4나노미터(nm) 시스템온칩(SoC) 기반이ㅏ. 스카일로 협대역 비지상망네트워크(NB-NTN)를 지원한다. W5 2세대 시리즈 플랫폼을 채용한 웨어러블 기기는 위성통신이 가능하다. 위성통신은 이동통신망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긴급구조(SOS) 등을 요청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W5 2세대 시리즈는 구글 웨어 운영체제(OS)와 호환한다. 구글 '픽셀 워치4'에 처음 들어간다.
디노 베키스 퀄컴 부사장 겸 웨어러블 및 혼합 신호 설루션 부문 본부장은 "퀄컴은 스냅드래곤 W5플러스와 W5 2세대 플랫폼을 통해 웨어OS가 최초로 NB-NTN을 통합한 OS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웨어러블 기술 분야 선도적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라며 "가장 외진 지역에서도 위성을 통해 긴급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웨어러블 플랫폼에 첨단 위성 기술 역량을 적용해 통신의 신뢰성과 안전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퀄컴의 의지를 강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상호 기자 crow@techm.kr